[유가공품 시리즈③] 우유와 가공유의 차이점
마트에서 우유를 고를 때,‘흰 우유’, ‘가공유’, ‘멸균우유’, ‘커피우유’ 등비슷하게 생긴 제품들이 줄지어 있어고르기 어렵던 경험 있으셨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인“우유”와 “가공유”의 차이를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우유란?우유는 법적으로 “우유류”로 분류되며,기본적으로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살균우유, 멸균우유, 저지방우유, 무지방우유 등이 포함되며,유지방을 일부 제거했거나 원유성분과유사하게 환원한 것도 해당됩니다. 환원유는 유가공품을 이용하여원유성분과 유사하게 만든 제품이며,보통 분유나 농축우유에 정제수를 혼합하여살균 또는 멸균처리하여 생산합니다.가공유란?가공유는 우유류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첨가한 제품입니다. 예를 들어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초코우유처럼맛이나 ..
2025. 7. 20.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확정! 언제, 어떻게, 얼마나 오를까?
매년 주목받는 시급 결정, 2026년은 얼마?매년 이맘때쯤이면 많은 사람들의관심이 쏠리는 뉴스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내년 최저시급'입니다. 2026년도 최저임금이 드디어 결정되었고,내년부터는 시급 10,320원이 적용됩니다. 물가상승과 경제성장률, 자영업자의 부담,청년·비정규직 근로자의 생계 등을 모두 고려해결정되는 이 숫자는 단순한 금액그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지금부터 2026년 시급이 어떻게 결정되었는지,최근 10년간의 흐름은 어땠는지,그리고 실제 내 월급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2026년 시급은 어떻게 결정됐나? + 최근 10년간 흐름2026년도 최저시급은 2025년 7월 11일,고용노동부 산하 최저임금위원회의 전원회의에서표결을 통해 결정되었습니다. 노동자위원, 사용자위원..
2025.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