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 표시기준③] “온라인 판매는 예외일까?” 통신판매 시 원산지 표시, 꼭 필요할까?
클릭 한 번으로 장보는 시대, 원산지도 함께 보이나요?요즘 식재료는 마트보다온라인 쇼핑으로 더 자주 구매하게 되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배달앱, 소셜커머스, 심지어 SNS DM까지…이처럼 편리한 온라인 쇼핑은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식품 소비 시장도 그 안에서급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품 설명에는 ‘국산 고사리’라더니,막상 결제창에는 원산지가 없거나,배송된 제품에 적힌 건 중국산이었다면? “온라인은 원산지 표시 예외 아냐?”라는 오해, 이제는 그만!이번 글에서는 통신판매 시원산지 표시 의무와 위반 사례, 소비자 체크포인트까지 쏙쏙 알려드립니다.1. 통신판매에서도 원산지 표시 ‘의무’입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표시 요령」 제4조 및 부칙에 따르면,인터넷, 모바일, 전화 등 비대면 판매도 원산지 표시가 ..
2025. 4. 20.
[원산지 표시기준①] “국산일까, 수입일까?” 헷갈리는 원산지 표시, 제대로 알고 있나요?
"국산", "국내산", "00산"…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마트에서 장을 볼 때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바로 원산지입니다. “국산 김치”, “충북 보은 고사리”,“00농장 계란”… 다들 익숙한 표시죠. 하지만 소비자들은 ‘정확히 어떤 기준으로 원산지를 붙이는지’ 알고 있을까요? 특히 고사리(치악산)처럼지명은 맞지만 행정구역이 아닌 경우,실제로는 허위 표시가 될 수 있다는 사실! 이 글에서는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식품 속 ‘원산지 표시제도’의 기본과헷갈리기 쉬운 오해들을 정리해드립니다.1. ‘국산’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원산지 표시의 정의와 시장 현황원산지 표시란, 식품이나 농산물이어디에서 생산되었는지 소비자에게알리는 표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국산 농산물 222품목,수입 및 반입품 161품목,국내 제조·가..
2025.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