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원산지표시기준3

[원산지 표시기준⑥]“국산인가? 수입산인가?” 소비자를 위한 원산지 표시 체크리스트 총정리 식탁 위 신뢰, 원산지에서 시작됩니다소비자가 식품을 선택할 때가장 먼저 보는 정보 중 하나가바로 ‘원산지’입니다.“국산 김치”, “국내산 고사리”, “00농장 계란”…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마주하는 원산지 표기는그 자체로 신뢰의 표식이죠. 그러나 ‘국산’이라는 단어 하나로 모든 재료가국산이라 믿었다가 실망한 경험,한 번쯤은 있으셨을 거예요. 실제로 원산지 표시가 부정확하거나누락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농·수·축산물부터 가공식품,복합원재료, 김치류와 절임류까지 총망라하여원산지 표시 기준을 정리해왔습니다. 마지막 편에서는 소비자가 실제 쇼핑 현장에서혼동 없이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체크리스트 형식으로 핵심만 쏙쏙 정리해드립니다.이 체크리스트를 통해 원산지 표시 기준을정확히 이해하고 소비자.. 2025. 4. 22.
[원산지 표시기준③] “온라인 판매는 예외일까?” 통신판매 시 원산지 표시, 꼭 필요할까? 클릭 한 번으로 장보는 시대, 원산지도 함께 보이나요?요즘 식재료는 마트보다온라인 쇼핑으로 더 자주 구매하게 되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배달앱, 소셜커머스, 심지어 SNS DM까지…이처럼 편리한 온라인 쇼핑은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식품 소비 시장도 그 안에서급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품 설명에는 ‘국산 고사리’라더니,막상 결제창에는 원산지가 없거나,배송된 제품에 적힌 건 중국산이었다면? “온라인은 원산지 표시 예외 아냐?”라는 오해, 이제는 그만!이번 글에서는 통신판매 시원산지 표시 의무와 위반 사례, 소비자 체크포인트까지 쏙쏙 알려드립니다.1. 통신판매에서도 원산지 표시 ‘의무’입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표시 요령」 제4조 및 부칙에 따르면,인터넷, 모바일, 전화 등 비대면 판매도 원산지 표시가 .. 2025. 4. 20.
[원산지 표시기준②] 국산의 기준은 어디까지?, 원산지 전환 기준! 농산물부터 고기까지, 원산지 헷갈리는 순간들마트에서 "국산 도라지", "국산 인삼"을 봤는데어딘가 익숙치 않은 느낌... 알고 보니 중국에서 이식한 뒤국내에서 재배한 것이라면? 또 어떤 돼지고기는 '국산'으로 표기돼 있는데,사실은 외국에서 들여온 새끼돼지를국내에서 몇 달 사육한 것이었다면? 원산지 표시는 단순히 어디서팔았는지가 아니라, 어디서 길러졌고,자랐으며, 어떤 생산 과정을 거쳤는지를따지는 복합적인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비자들이가장 많이 헷갈리는‘원산지 전환 기준’을 짚어보겠습니다.1. '국산'의 기준은 어디까지? 원산지 전환의 3가지 원칙농산물종자부터 국내 생산한 경우만 국산중국에서 들여온 인삼을 국내 토양에 심어 키운 경우, 그 뿌리가 이미 중국산이기 때문에 → ‘중국산’으로 표시반면, .. 2025.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