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원산지 표시기준⑥]“국산인가? 수입산인가?” 소비자를 위한 원산지 표시 체크리스트 총정리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4. 22.
반응형

블로그 썸네일

식탁 위 신뢰, 원산지에서 시작됩니다

소비자가 식품을 선택할 때

가장 먼저 보는 정보 중 하나가

바로 ‘원산지’입니다.


“국산 김치”, “국내산 고사리”, “00농장 계란”…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마주하는 원산지 표기는

그 자체로 신뢰의 표식이죠.

 

그러나 ‘국산’이라는 단어 하나로 모든 재료가

국산이라 믿었다가 실망한 경험,

한 번쯤은 있으셨을 거예요.

 

실제로 원산지 표시가 부정확하거나

누락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농·수·축산물부터 가공식품,

복합원재료, 김치류와 절임류까지 총망라하여

원산지 표시 기준을 정리해왔습니다.

 

마지막 편에서는 소비자가 실제 쇼핑 현장에서

혼동 없이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핵심만 쏙쏙 정리해드립니다.


이 체크리스트를 통해 원산지 표시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소비자 권리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자 합니다.


1. 표시 위치를 먼저 살핀다

제품 앞면의 홍보 문구보다 뒷면

또는 하단 ‘원재료명 및 함량’란을 확인합니다.


괄호 안에 있는 원산지 표기가 핵심 정보입니다.


2. 강조 문구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국산 ○○ 사용”, “100% 국산” 등은 실제

전 성분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품 표면에 “국산”을 강조했다면,

반드시 원재료명과 함께 원산지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원산지 표시에서 비중 상위 원료가

포함되어 있는지, 혼합 원료 여부

꼼꼼히 따져보세요.


3. 상위 3순위 원료의 원산지만 표시된다는 점을 기억

반응형

모든 원료가 아닌 사용 비중 상위 3가지

농·수·축산물만 원산지 표시 대상입니다.

 

나머지 성분은 표기 생략이 가능하므로 맹신 금지!


4. 표시가 없는 경우, 예외 원료인지 확인

물, 주정, 설탕, 물엿, 식품첨가물

등은 표시 예외 품목입니다.


이들이 상위 원료일 경우,

그 다음 순위 원료의 원산지를

대신 표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설탕이 1순위라면

설탕의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고,

2, 3, 4순위 원료의 원산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지 않기 위한 법적 규정입니다.


5. 복합원재료와 김치류는 별도 기준이 있다는 점 인지

복합원료는 상위 3순위 내 포함 시

2개 주요 성분의 원산지까지 표시해야 합니다.

 

김치류는 고춧가루 사용 여부에 따라

표시 범위가 다르며, 소금도 필수 표시 항목일 수 있습니다.


김치와 같은 전통식품에서 고춧가루와

소금은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재료이므로, 정확한 원산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6. ‘국산’ 일괄표시가 가능한 조건을 알고 있어야 함

물, 당류, 주정, 식품첨가물 제외 전부

국산일 때만 전체 '국산' 표기가 가능합니다.


단, ‘100% 국산’문구는 소비자에게 오인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원재료가 모두 국산이어도

정확히 표기해야 합니다.


7. 의심되면 신고 또는 문의하기

소비자상담센터 ☎ 1372

원산지 표시 위반 신고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1588-8112

 

원산지 미표시 시 과태료100만 원,

허위표시 시 형사처벌 대상(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불완전한 원산지 표기가 있다면, 소비자 신고로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꼼꼼히 보는 눈이 안전한 식탁을 만듭니다

식품의 원산지는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신뢰와 건강, 식문화의 기준입니다.


모든 제품이 동일하게 원산지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며, 많은 경우 소비자에게

중요한 원재료 원산지는 일부만 표시됩니다.


그러므로 원산지 표시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수 없이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산지 표시는 소비자 권리입니다.

 

올바른 정보를 얻고 선택하는 소비자가 되어,

더 나은 식품 환경을 만들어 가길 바랍니다.


올바른 원산지 표시로 소비자 보호와

건강한 식문화를 만들어가는 길에 함께 해주세요.

🙌

📋 출처
식품 등의 표시기준(고시 제2024-41호)
농림축산식품부 원산지 표시 종합안내 (2024)
식약처 식품표시법 해설자료(2024)
 

[원산지 표시기준①] “국산일까, 수입일까?” 헷갈리는 원산지 표시, 제대로 알고 있나요?

"국산", "국내산", "00산"…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마트에서 장을 볼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 바로 원산지입니다. “국산 김치”, “충북 보은 고사리”,“00농장 계란”… 다들 익숙한 표시죠.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②] 국산의 기준은 어디까지?, 원산지 전환 기준!

농산물부터 고기까지, 원산지 헷갈리는 순간들마트에서 "국산 도라지", "국산 인삼"을 봤는데 어딘가 익숙치 않은 느낌... 알고 보니 중국에서 이식한 뒤 국내에서 재배한 것이라면? 또 어떤 돼지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③] “온라인 판매는 예외일까?” 통신판매 시 원산지 표시, 꼭 필요할까?

클릭 한 번으로 장보는 시대, 원산지도 함께 보이나요?요즘 식재료는 마트보다온라인 쇼핑으로 더 자주 구매하게 되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배달앱, 소셜커머스, 심지어 SNS DM까지…이처럼 편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④] “속이면 큰일 납니다” 원산지 표시 위반, 어떤 벌칙이 있을까?

‘국산’이라고 믿었는데,알고 보니 외국산? 그 뒷이야기요즘 식품 포장지엔 빠짐없이 적혀 있는 원산지. 하지만 허위표시, 혼합비율 누락,표기 생략등의 사례도 여전히 빈번합니다. 한때 ‘국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⑤-1] “가공식품 원재료의 원산지 표시, 어디까지 봐야 할까?”

‘국산’이라는 말,어디까지 믿어야 할까?가공식품에서 흔히 마주치는 문구 ‘국산’.그런데 정말 모든 재료가 국산일까요? ‘국산’이라는 단어가 소비자에게 주는신뢰감은 크지만, 표시기준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⑤-2] “가공식품 원산지 표시, 복합원재료와 김치류는 특별하다?”

복합원재료와 김치·절임류,표시기준은 다릅니다가공식품에 사용되는원재료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특히 김치류나 절임류처럼전통 식품의 경우 소비자의 신뢰가중요한 만큼 별도 표시 기준이

food-fath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