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품포장지해석2 [‘1회 제공량’은 누구를 위한 기준?] 열량 착시를 읽는 법 🧮 열량이 낮다고? 1개 기준일 뿐입니다‘1개당 75kcal’, ‘1회 제공량당 90kcal’라는 문구를 보면, 소비자는 왠지 ‘이거 건강하겠다’, ‘괜찮은 간식이네’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잠깐, 그 ‘1개’가 한 봉지 전체를 뜻하는 건 아닐 수 있습니다.많은 식품 포장지에는 열량을 작게 보이게 하기 위해 ‘1회 제공량’을 의도적으로 작게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품은 3개 들어 있는데, 표기는 1개당 열량으로만 표시되어 있다면? 전체 열량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많을 수 있죠.이번 글에서는 ‘1회 제공량’ 기준 열량 표기의 허와 실, 실제 섭취량을 기준으로 열량과 당류를 어떻게 다시 계산해야 하는지, 소비자가 빠지기 쉬운 착시 포인트까지 함께 살펴봅니다.1. serving size,.. 2025. 5. 21. [‘총내용량’ vs ‘낱개표시’] 소비자는 왜 헷갈릴까? 📐 ‘총 내용량’과 ‘내용량(g)’, 같은 숫자지만 해석은 다르다?마트나 편의점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총 내용량 200g(20g × 10개)’처럼 적힌 포장지를 본 적이 있으신가요? 숫자는 분명해 보이지만, 실제 구성이나 섭취량을 오해하게 만드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총 내용량, 개별 중량, 낱개 수량은 같아 보여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정보는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총 내용량’과 ‘내용량(g)’이라는 용어의 차이를 중심으로, 포장지에 숨겨진 정보 구조와 소비자가 놓치기 쉬운 포인트들을 짚어봅니다. 온라인 쇼핑, 간편식, 개별포장 제품처럼 정보가 더욱 모호해지는 환경 속에서 표기 숫자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숫자의 진짜 의미를 함께 풀어보겠습니다.1. 총 내용량과 낱개량, 같은 .. 2025. 5.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