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강조표시 시리즈 ⑦] 단백질 바, 진짜 고단백일까? 영양표시 기준 확인법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3. 25.
반응형
헬스 아니어도 단백질!
이젠 단백질이 ‘근육’보다 ‘건강’과 직결되는 키워드가 됐습니다.

마트, 편의점만 가도
“고단백! 단백질 풍부! 단백질 바!”라는!” 문구들이 넘쳐나죠.

그런데… 정말 다 ‘고단백’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단백질 강조 표시 기준’을 제대로 알려드릴게요.

 

1. 단백질 시장, 얼마나 성장했을까?

단백질은 이젠 운동선수 전유물이 아니에요.
다이어트, 당 관리, 건강 간식등 다양한 수요로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어요.

 

식약처 2023 식품 소비 트렌드에 따르면,
영양강조 표시 식품 중 단백질 제품 비율은 11.6%,
3위를 차지했어요!

 

단백질 바, 요구르트, 음료, 시리얼 등
먹기 편하고 간편한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어요.

 

실제 국내 성인 1일 단백질 섭취량은 평균 73g입니다.

남성 84.1g, 여성 61.4g으로 성인 권장량인 50~60g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습니다.

✅ 출처: 국민건강영양조사 2023

2. 단백질의 종류와 급원 식품

단백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 🐄 동물성 단백질: 고기, 생선, 계란, 우유 등
  • 🌱 식물성 단백질: 콩류, 곡물, 견과 등

✅ 완전 단백질 (Complete Protein)

‘필수 아미노산 9종’을 모두 포함한 단백질을 말해요.
이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필수 아미노산 9종
라이신, 이소류신, 류신, 트레오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발린, 페닐알라닌, 히스티딘

 

완전 단백질 식품 예시:🥚 계란, 🥛 우유, 🐟 생선, 🥩 고기, 🌾 대두(두부), 🍚 퀴노아

⚠ 불완전 단백질 (Incomplete Protein)

필수 아미노산 중 한두 가지 이상이 부족한 단백질을 말해요.
주로 곡류(쌀, 밀), 일부 채소, 견과 등에 포함돼요.

단, 식물성 단백질도 서로 보완해서 섭취하면 완전 단백질처럼 활용 가능해요!
예: 콩 + 쌀조합 = 부족한 아미노산을 서로 보완

 

 

🔎 주요 식품별 단백질 함량 (100g 기준)

식품 단백질 함량
닭가슴살 23~25g
삶은 달걀 12.5g
두부 8g
검은콩 21g
그릭요거트 10g 이상
흰쌀밥 2.5g (불완전 단백질)

3. 🍽 단백질, 얼마나 먹어야 할까?

단백질은 단순히 근육을 만드는 영양소가 아니에요.
우리 몸 구석구석을 책임지는 생명의 재료입니다!

 

✅ 단백질의 주요 역할

  • 🧱 근육, 피부, 장기, 머리카락 등 모든 조직의 구성 성분
  • 🧬 호르몬·효소의 원료(예: 인슐린, 소화효소 등)
  • 🛡 면역력 유지와 회복을 돕는 핵심 영양소
  • 🔄 상처 회복과 세포 재생에도 관여
  • 🔋 탄수화물이 부족할 경우,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도 해요

🧮 얼마나 먹어야 할까?

단백질 필요량은 나이, 성별, 체중, 활동량에 따라 달라져요.

📌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2020)
  • 👨 성인 남성: 하루 65g
  • 👩 성인 여성: 하루 50g

💡 간편 계산법

체중(kg) × 0.8g = 하루 필요 단백질량
📍 예: 체중 60kg 성인 → 60kg × 0.8g = 48g

 

🏃‍♀ 활동량 많다면? 단백질도 ↑

대상 권장량
🏋 운동하는 사람 체중 × 1.2~2.0g
🤰 임산부 +15g (2~3기)
🧓 노인 (65세 이상) 체중 × 1.0~1.2g 권장

 

운동을 자주 하거나 회복 중인 사람은
기초 필요량보다 더 많은 단백질 섭취가 필요해요!

 

❗ 놓치기 쉬운 포인트

  • ⚠ 단백질 많이 먹는다고 다 흡수되는 건 아니에요.
    소화·흡수 능력, 다른 영양소와의 균형도 중요해요.
  • 🍚 탄수화물과 함께 먹을 때 단백질이 에너지로 전환되지 않고
    근육 합성에 더 잘 쓰일 수 있어요!

💬 단백질 섭취량 = 단순히 '많이 먹기'가 아닌, '적절히 잘 먹기'가 핵심!


4. 📏단백질 강조표시 기준, 이건 꼭 알아두세요!

식약처는 단백질 관련 표시 문구를
다음과 같이 명확히 고시하고 있습니.

① 함유 / 급원기준

1일 영양성분 기준치(55g)를 기준으로

다음 중 하나를 만족하면
“단백질 함유”, “단백질의 급원”이라는 문구 사용 가능

  • 100g당≥ 5.5g (고형 식품)
  • 100mL당≥ 2.75g (액상 식품)
  • 100kcal당≥ 2.75g
  • 1회 섭취참고량당 1일 영양성분기준치의 10% 이상≥ 5.5g

② 고 / 풍부기준

위 기준의 2배 이상일 때 사용 가능

  • 100g당≥ 11g
  • 100mL당≥ 5.5g
  • 100kcal당≥ 5.5g
  • 1회 섭취참고량당 1일 영양성분기준치의 11g 이상(기준치의 20%)

③ 표시 허용 오차 범위

📌 표시된 단백질 함량의 80% 이상은 실제로 들어 있어야 합니다!

즉, 단백질 10g 함유라고 표시했다면

실제 측정값은 8g 이상이어야 법적 기준에 부합해요.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등의 표시기준」(고시 제2024-41호),
[별표 5] 영양성분 표시 기준 및 허용오차 기준

5. 📝 단백질 식품, 이렇게 고르세요

단백질 제품, 표시만 믿지 마세요!

 

단백질 함량(g): 1회 섭취량 기준 확인
✔ 표시 기준 충족 여부: 5.5g 이상(함유), 11g 이상(고단백)
✔ 당·지방 함량도 함께 체크
✔ 단백질 종류(유청, 콩, 완두 등)도 살펴보기
✔ 기능성 문구(면역, 근육 등)는 인증 여부 확인


6. 🧩 마무리하며

요즘 단백질은 먹기 쉬운 간편식 형태로 다양하게 나옵니다.

 

하지만 고단백 문구만 보고 고르면 오히려
당류·지방 과다 제품을 고를 수도 있어요.

 

📊 영양성분표 속 숫자와 기준,
이제는 꼭 함께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