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이섬유가 주목받고 있어요.
장 건강과 혈당 조절, 체중 관리까지!
오늘은 우리가 마트에서
자주 보는 ‘고식이섬유’ 표시가
어떤 기준으로 붙는 것인지,
또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꼼꼼히 살펴볼게요.
😊
📈 1. 시장 현황
건강기능식품, 시리얼, 음료 등 다양한 식품에서 ‘식이섬유 강화’, ‘고식이섬유’ 제품이 눈에 띄어요.
하지만 실제 국내 성인 1일 식이섬유 섭취량은 평균 23.1g으로
남성 25.4g, 여성 20.7g으로 권장충분섭취량인 20~30g에 비해 부족한 편이에요.
✅ 출처: 국민건강영양조사 2023
🧬 2. 종류와 급원 식품
💧 수용성 식이섬유
- 👉 기능: 물에 녹아 젤 형태가 되어 혈당 조절, 콜레스테롤 저하, 장 건강에 도움
- 🍎 대표 식품: 귀리, 보리, 사과, 고구마, 다시마
🪵 불용성 식이섬유
- 👉 기능: 물에 녹지 않고 장을 자극해 배변 활동 촉진, 변비 예방
- 🥬 대표 식품: 현미, 통밀, 브로콜리, 양배추, 시금치
✅ 두 가지를 균형 있게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 3. 기능과 섭취량 계산 방법
💡 주요 기능
- 🧻 변비 예방
- 📉 혈당 조절
- ❤ 콜레스테롤 감소
- 🧍♀ 체중 관리
📊 권장 충분섭취량
- 남성: 30g 이상/일
- 여성: 20g 이상/일
📌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2020)
식품 라벨에서 식이섬유를 확인해 하루 섭취량을 쉽게 계산할 수 있어요.
예 : 시리얼 한 컵(식이섬유 5g)은 하루 섭취 기준의 약 15~25% 충족!
※ 식이섬유 함량은 의무 표시항목이 아니기 때문에 모든 제품에 표기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식이섬유 함량을 별도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1g당 2kcal로 열량을 산출하여 표시합니다.
🏷 4. 법적 표시기준 (식약처 고시 기준)
✅ 식이섬유 함유 또는 급원
- 100g당 3g 이상
- 100kcal당 1.5g 이상
- 1회 제공량당 1일 영양성분기준치 25g의 10% 이상 → 2.5g 이상
✅ 식이섬유 고(高)또는 풍부
함유 또는 급원 기준의 2배
- 100g당 6g 이상
- 100kcal당 3g 이상
- 1회 제공량당 1일 영양성분기준치 25g의 20% 이상 → 5g 이상
※ 동일한 식품유형 중 시장점유율이 높은 3개 이상의 유사식품을 대상으로 식이섬유 함량을 비교하여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최소 25% 이상의 차이가 있어야 합니다..
또한 식이섬유 실제 측정값은 표시량의 80% 이상이어야 합니다.
⚠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강조 표시를 붙일 수 없습니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등의 표시기준」 (제2024-41호)
⚠ 5. 과다 섭취 시 주의사항
식이섬유도 과하면 문제가 될 수 있어요!
- 💨 복부 팽만감, 가스
- 🚽 설사 또는 오히려 변비 유발(수분 부족 시)
- 🧲 철분·칼슘 등 미네랄 흡수 저해
📝 특히 영유아, 노약자, 위장 질환이 있는 분은 섭취량에 유의해야 해요.
섭취량뿐만 아니라 식이섬유는 수분을 흡수해 장을 자극합니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변비 예방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물 없이 식이섬유를 과다 섭취하면 오히려 장이 막히거나 변비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 6. 식이섬유 식품 선택 시 체크 포인트
📌 “식이섬유 고함량” 문구는 기준을 충족했는지?
📌 식이섬유 외에 당류, 나트륨은 너무 높지 않은지?
📌 당류, 나트륨 등 다른 성분도 꼼꼼히 확인했나요?
📌 자연식품 위주로 먹고 있는지?
📌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있나요?
🎯 7. 마무리하며
식이섬유는 건강한 식생활의 핵심입니다!
하지만 마케팅 문구만 보고 덜컥 구매하기보다,
📊 영양정보표 + 표시기준을 함께 살펴보는 습관이 중요해요.
✅ ‘표시 기준을 이해하는 소비자’만이
정말 현명하고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내 몸에 맞는 식이섬유 섭취, 시작해 보세요!🌱
[강조표시 시리즈 ①] "무첨가"의 함정 - 식품 표시사항 제대로 읽는 법
마트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눈에 띄는 문구 중 하나가 바로 "무첨가"입니다.무방부제, 무색소, 무설탕 등 다양한 표현으로 소비자의 건강한 선택을 유도합니다.하지만 이 "무첨가" 표시가 항상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②] "저", "고" 함량표시는 믿을 수 있을까?
마트에서 식품을 고르다 보면 '저당', '저지방', '고칼슘' 같은 문구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이 표현들은 과연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③] 무가당 vs 무설탕 vs 제로슈가 – 같은 말일까, 다른 말일까?
마트에서 음료나 간식을 고르다 보면'무가당', '무설탕', '제로슈가'라는 문구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모두 당이 없다는 의미일까요? 아니면 각각 다른 기준과 의미가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헷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④] 저당 표시, 진짜 당이 적을까? 기준부터 오해까지 총정리
마트나 편의점에서'저당', 'Low Sugar', '당을 줄였어요'같은 문구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달지 않으니 건강에 좋을 것 같고,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될 것 같죠.그런데 과연 이 '저당' 표시,어디까지 믿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⑤] “덜 짜다더니 짜네?” 나트륨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먹기
한국인은 오랫동안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식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실제로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권장량을 크게 초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⑥] 저지방? 무지방? 지방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드시나요?
최근 다이어트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지방', '무지방', '지방을 줄였어요' 같은 문구가 붙은 식품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표시들,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드시나요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⑦] 단백질 바, 진짜 고단백일까? 영양표시 기준 확인법
헬스 아니어도 단백질!이젠 단백질이 ‘근육’보다 ‘건강’과 직결되는 키워드가 됐습니다.마트, 편의점만 가도“고단백! 단백질 풍부! 단백질 바!”라는!” 문구들이 넘쳐나죠.그런데… 정말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⑨-1] 비타민 표시기준 (1편): 종류부터 결핍·과잉까지 한눈에!
비타민은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영양소입니다.부족하면 결핍 증상이, 많으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요.이 글에서는 비타민의 종류와 기능, 급원 식품부터결핍·과잉 섭취 시 나타나는 문제까지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⑨-2] 비타민 표시기준 (2편): 법적 기준부터 소비자 체크리스트까지!
식품에 붙은 “비타민 풍부”, “비타민C 함유”라는 문구,정말 믿어도 될까요?이 글에서는 식품 표시기준에 따른 강조 문구의 법적 기준과소비자가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⑩] 무기질, 얼마나 알고 먹고 계신가요?
건강기능식품뿐 아니라 일반 가공식품에서도칼슘·철·아연 등 무기질 표시가 자주 보이지만,이 표시의 기준이 무엇인지 아시나요?이번 글에서는 무기질 시장 동향부터기능, 급원 식품, 결핍·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마무리] 영양정보, 이제는 편하게 읽어보자
식품 포장지 속 ‘저당’, ‘저지방’, ‘고단백’ 같은 문구들,알고 보면 모두 기준이 있다는 사실!이 시리즈를 통해 우리는 그 기준을 하나씩 살펴보았습니다.이제 영양표시를 스치듯 보는 게
food-father.com
'식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조표시 시리즈 ⑨-2] 비타민 표시기준 (2편): 법적 기준부터 소비자 체크리스트까지! (8) | 2025.03.26 |
---|---|
[강조표시 시리즈 ⑨-1] 비타민 표시기준 (1편): 종류부터 결핍·과잉까지 한눈에! (2) | 2025.03.25 |
[강조표시 시리즈 ⑦] 단백질 바, 진짜 고단백일까? 영양표시 기준 확인법 (4) | 2025.03.25 |
[강조표시 시리즈 ⑥] 저지방? 무지방? 지방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드시나요? (6) | 2025.03.24 |
[강조표시 시리즈 ⑤] “덜 짜다더니 짜네?” 나트륨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먹기 (3)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