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강조표시 시리즈 ⑨-1] 비타민 표시기준 (1편): 종류부터 결핍·과잉까지 한눈에!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3. 25.
반응형
비타민은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부족하면 결핍 증상이, 많으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비타민의 종류와 기능, 급원 식품부터
결핍·과잉 섭취 시 나타나는 문제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균형 잡힌 섭취의 중요성을 꼭 기억하세요! 🙌

1. 비타민 시장 현황

비타민은 전통적인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일반 가공식품(주스, 시리얼, 우유, 간식류 등)에도 첨가되며

'건강 이미지'를 강화하는 요소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국내 성인 중 식이보충제 복용경험률이 66.7%로 나타났으며,
그중 다수는 비타민류를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출처 : 2023 국민건강통계

2. 비타민의 종류와 기능

비타민은 수용성과 지용성으로 나뉘며, 각각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이 있습니다.

지용성 비타민

  • A: 시력 유지, 세포 성장
  • D: 칼슘 흡수 촉진, 뼈 건강
  • E: 항산화 작용
  • K: 혈액 응고

수용성 비타민

  • B군(B1, B2, B3(니아신), B6, B12, 엽산 등): 에너지 대사, 신경 기능 유지
  • C: 면역력 강화, 항산화

이들 비타민은 대부분 자연식품(채소, 곡류, 육류 등)에 존재하며,

일부는 합성 원료나 발효 공정을 통해 제조되기도 합니다.


3. 주요 급원 식품

비타민 대표 식품
A 당근, 시금치, 달걀노른자
B군 돼지고기, 현미, 유제품, 견과류
C 감귤, 파프리카, 브로콜리
D 연어, 고등어, 표고버섯, 강화 우유
E 식물성 기름, 해바라기씨
K 치즈, 달걀, 청국장

 

비타민은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할 때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습니다.


4.❗비타민 결핍 시 나타날 수 있는 건강 문제

비타민은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거나 아주 소량만 생성되기 때문에,

식품을 통해 지속적으로 섭취하지 않으면 결핍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아래는 대표적인 비타민 결핍 사례입니다.

비타민 결핍 시 나타나는 증상 및 관련 질환
비타민 A 야맹증, 눈 건조, 피부 각질, 면역력 저하
비타민 D 골연화증, 구루병, 뼈 통증, 면역 저하
비타민 E 신경 손상, 근육 약화, 생식기능 저하(심할 경우)
비타민 K 쉽게 멍이 들거나 지혈이 잘 안 됨 (혈액 응고 문제)
비타민 C 잇몸 출혈, 멍, 면역력 저하, 괴혈병
비타민 B1 (티아민) 각기병, 피로, 신경염, 집중력 저하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입술 갈라짐, 구내염, 피부염
나이아신 (B3) 피부염, 설사, 정신 혼란 (펠라그라)
비타민 B6 손발 저림, 피부염, 우울감, 빈혈
엽산 (B9) 빈혈, 태아 신경관 결손(임산부 주의)
비타민 B12 악성빈혈, 기억력 저하, 손발 저림
비오틴 (B7) 탈모, 피부염, 손톱 갈라짐
판토텐산 (B5) 피로, 위장장애, 수면장애 등 (드물지만 장기결핍 시)

 

📌 특히 성장기 어린이, 임산부, 노인, 만성질환자 등은 결핍 위험이 높아 균형 잡힌 섭취가 필수입니다.


5. ⚠ 비타민도 너무 많으면 문제! - 과잉 섭취 시 부작용

비타민은 건강에 필수적인 영양소이지만,


📌 지용성 비타민(A, D, E, K)은 체내에 축적되기 쉬워 과잉 섭취 시 독성 작용이 우려돼요.
📌 수용성 비타민은 대부분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고용량 보충제 복용 시 역효과나 위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과잉 섭취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및 문제점
비타민 A 두통, 메스꺼움, 간 손상, 피부 건조, 임산부 기형 유발 가능성
비타민 D 고칼슘혈증, 신장 기능 저하, 식욕부진, 메스꺼움
비타민 E 지혈 지연(혈액응고 억제), 항응고제 복용 시 출혈 위험 증가
비타민 K 일반적으로 과다 영향 적지만, 항응고제 복용자에겐 문제 될 수 있음
비타민 C 복통, 설사, 신장결석(고용량 지속 복용 시)
비타민 B1, B2 과잉 시 부작용 거의 없음 (수용성, 배출됨)
나이아신(B3) 고용량 시 피부 홍조, 간독성, 위장장애 유발 가능
비타민 B6 고용량 장기 복용 시 말초신경 이상(손발 저림, 균형 장애)
엽산(B9) 과다 시 비타민B12 결핍 증상 은폐 가능성
비타민 B12 독성 거의 없음 (다만 과용 필요 없음)
비오틴, 판토텐산 과잉 부작용 드물지만, 대사 관련 질환자 주의 요망

 

📌 과잉섭취가 더 문제 되는 경우

  • 임산부 (A, D 비타민 주의)
  • 신장 질환자
  • 항응고제/항생제 복용자
  • 건강기능식품·보충제를 중복 섭취 중인 경우

6. 마무리하며

비타민은 우리 몸의 건강을 유지하고 회복하는 데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하지만 “많을수록 좋다”는 오해로 인해 과잉 섭취하거나,

또는 바쁜 일상 속에서 간과하고 결핍되기 쉽죠.

 

이 글을 통해 어떤 비타민이 우리 몸에 어떤 역할을 하고,

부족하거나 너무 많아지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하셨길 바랍니다.

 

가장 중요한 건 '균형’과 ‘지속성’입니다.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먹는 것이 비타민 섭취의 첫걸음이라는 것, 잊지 마세요! 🍽

 

📌 다음 편에서는 “비타민 섭취기준과 표시기준, 실제 제품에서

이 문구를 믿어도 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