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원산지 표시기준④] “속이면 큰일 납니다” 원산지 표시 위반, 어떤 벌칙이 있을까?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4. 21.
반응형

블로그 썸네일

‘국산’이라고 믿었는데,
알고 보니 외국산? 그 뒷이야기

요즘 식품 포장지엔 빠짐없이 적혀 있는 원산지.

 

하지만 허위표시, 혼합비율 누락,

표기 생략등의 사례도 여전히 빈번합니다.

 

한때 ‘국산 김치’로 팔리던 제품이

실은 중국산 배추와 젓갈로 만든 것이었고,

소비자들은 속수무책으로

그걸 먹고 있었던 적도 있었죠.

 

이런 ‘믿음의 배신’을 막기 위해

원산지 표시 위반에는

강력한 처벌과 벌칙이 따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위반 유형별 처벌 수위

실제 사례를 정리해드립니다.


1. 원산지 표시 위반 유형은 이렇게 나뉩니다

반응형

📌 「농수산물의 원산지표시 요령」 및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행위는 모두 ‘원산지 표시 위반’으로 간주됩니다.

  • 🟥 허위표시
    수입산을 국산으로 표시하거나,
    특정 지역으로 오인할 수 있도록 표시
    예: 중국산 고사리를 ‘치악산 고사리’로 판매
  • 🟧 미표시 (표시 자체 누락)
    표시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표기도 하지 않은 경우
    예: 온라인 상세페이지에 원산지 정보 누락
  • 🟨 부정확한 혼합비율 표시
    국산/수입산 혼합 제품에 정확한 비율을 적지 않음
    예: ‘국산 60%, 외국산’ 등으로 뭉뚱그려 표시

2. 처벌 수위는 생각보다 강력합니다

위반 유형 제재 내용
허위표시 최대 7년 이하 직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급(상습 위반시 1년 이상 10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5천만원 이하 벌금)
미표시 100만 원 이하 과태료(1차 50, 2차 70, 3차 100만 원)
표시사항 미흡 행정처분(시정명령, 과태료 병과 가능)

 

✅ 특히 ‘허위표시’는 형사처벌 대상이기 때문에,

단순한 실수로 넘어가기 어렵습니다.


3. 실제 적발 사례로 보는 경각심

  • ‘국산’이라고 속여 수입산 김치 납품한 외식업체
    → 업주 구속 + 납품 계약 해지
  • 온라인 쇼핑몰에서 국산 고춧가루로 광고,
    실제로는 중국산 → 100만 원 과태료 부과 + 행정명령
  • 혼합 원산지 비율 누락한 나물 제품
    → 표시기준 위반으로 과태료 70만 원
  • 소비자 신뢰는 한순간에 무너지고,
    브랜드 이미지 회복은 수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신고는 어디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1588-8112

소비자상담센터 ☎ 1372

온라인 신고: www.naqs.go.kr

 

✅ 신고 시 캡처, 영수증, 제품 사진 등을

함께 제출하면 처리 속도와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속이지 말고, 속지 맙시다

원산지 표시 위반은 단순한 행정 실수가 아닙니다.

 

소비자의 건강권과 알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이자,

정직한 유통질서를 무너뜨리는 범죄입니다.

 

우리 모두 표시를 꼼꼼히 확인하고,

이상하면 적극적으로 신고함으로써

더 안전한 먹거리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어요.

 

다음 편에서는

“실제 상품 속 원산지 표시, 어떻게 읽고 비교할까?”

사례 중심으로 풀어보겠습니다.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농산물 및 가공품 원산지 표시 종합안내」(2024)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2024.7.24)
한국소비자원 및 언론 보도자료(2023~2024)

 

[원산지 표시기준①] “국산일까, 수입일까?” 헷갈리는 원산지 표시, 제대로 알고 있나요?

"국산", "국내산", "00산"…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마트에서 장을 볼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 바로 원산지입니다. “국산 김치”, “충북 보은 고사리”,“00농장 계란”… 다들 익숙한 표시죠.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②] 국산의 기준은 어디까지?, 원산지 전환 기준!

농산물부터 고기까지, 원산지 헷갈리는 순간들마트에서 "국산 도라지", "국산 인삼"을 봤는데 어딘가 익숙치 않은 느낌... 알고 보니 중국에서 이식한 뒤 국내에서 재배한 것이라면? 또 어떤 돼지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③] “온라인 판매는 예외일까?” 통신판매 시 원산지 표시, 꼭 필요할까?

클릭 한 번으로 장보는 시대, 원산지도 함께 보이나요?요즘 식재료는 마트보다온라인 쇼핑으로 더 자주 구매하게 되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배달앱, 소셜커머스, 심지어 SNS DM까지…이처럼 편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⑤-1] “가공식품 원재료의 원산지 표시, 어디까지 봐야 할까?”

‘국산’이라는 말,어디까지 믿어야 할까?가공식품에서 흔히 마주치는 문구 ‘국산’.그런데 정말 모든 재료가 국산일까요? ‘국산’이라는 단어가 소비자에게 주는신뢰감은 크지만, 표시기준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⑤-2] “가공식품 원산지 표시, 복합원재료와 김치류는 특별하다?”

복합원재료와 김치·절임류,표시기준은 다릅니다가공식품에 사용되는원재료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특히 김치류나 절임류처럼전통 식품의 경우 소비자의 신뢰가중요한 만큼 별도 표시 기준이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⑥]“국산인가? 수입산인가?” 소비자를 위한 원산지 표시 체크리스트 총정리

식탁 위 신뢰, 원산지에서 시작됩니다소비자가 식품을 선택할 때가장 먼저 보는 정보 중 하나가바로 ‘원산지’입니다.“국산 김치”, “국내산 고사리”, “00농장 계란”…대부분의 소비자들

food-fath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