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유가공품 시리즈④] 유크림과 생크림의 차이, 알고 먹으면 다릅니다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7. 21.
반응형

유크림과 생크림

 

카페에서 휘핑크림 올린 커피를 주문할 때,

혹은 베이킹할 때 생크림이 필요한 순간,

‘유크림이랑 생크림은 뭐가 다르지?’ 궁금하셨죠?

 

오늘은 비슷하게 느껴지는 유크림과 생크림의 차이

명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유크림이란?

유크림우유 또는 우유류에서

유지방만 분리한 것을 말합니다.

 

즉, 우유 속 지방층을 모아낸

고지방 원료로,

농축된 지방 함량이 특징입니다.

 

식품공전상 ‘유크림류’에 속하며,

유지방 함량이 30% 이상이어야 합니다.

 

보통 흰 액체 형태로 유통되며,

100% 유크림 그대로 판매되거나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이 들어간

가공유크림(유지방 18% 이상)으로도 나옵니다.

 

커피 프랜차이즈, 제과제빵

제조 공정에서 많이 쓰이는 기초 원료입니다.

반응형

생크림이란?

생크림은 일반적으로 유크림을 그대로

휘핑해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제품을 말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말하는 생크림은

대부분 휘핑크림의 개념에 가깝습니다.

 

보통 유크림 100%인 제품이 많지만,

유통명은 '생크림', '휘핑크림' 등 다양하며,

식품유형은 여전히 '유크림류'로 표시됩니다.

 

또한, 식물성 크림(팜유 등)이나 혼합유지

만들어진 제품도 ‘생크림’ 또는 ‘휘핑크림’처럼 유통되므로,

성분표 확인은 꼭 필요합니다.


유크림 vs 생크림 비교

항목 유크림 생크림
정의 우유에서 지방을 분리한 고지방 원료 휘핑 가능한 유크림 제품 (제품명 기준)
식품유형 유크림류 유크림류 (또는 기타 크림류)
성분 유지방 30% 이상 유지방 30% 이상 / 식물성 유지 포함 가능
용도 식품 제조용 원료, 조리용 케이크 토핑, 휘핑크림, 디저트용
포장 형태 액상 제품 액상 또는 휘핑 후 튜브형 등 다양

휘핑크림은 또 뭐예요?

휘핑크림은 ‘생크림’을 휘핑해

거품을 만든 상태를 말합니다.

 

즉, 생크림은 액체, 휘핑크림은

거품 상태로 생각하면 됩니다.

 

제품명에 ‘휘핑크림’이라고 되어 있더라도

식물성 유지(팜유 등)가 주성분인 경우가 많으니,

성분표에서 '유크림' 또는

'식물성 유지'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이렇게 고르세요

✔ 요리나 식재료로 사용한다면 유크림

✔ 휘핑해서 케이크, 음료에 쓰고 싶다면
    생크림 또는 휘핑크림

✔ 식물성인지 동물성인지
    중요하다면 반드시 성분표 확인!

 

유크림과 생크림은 같은 범주이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치즈는 모두 같은 치즈가 아니다!”를 주제로,

자연치즈와 가공치즈의 차이를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치즈 종류가 많아 헷갈리셨다면 꼭 읽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