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유가공품 시리즈③] 우유와 가공유의 차이점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7. 20.
반응형

우유와 가공유의 차이점

 

마트에서 우유를 고를 때,

‘흰 우유’, ‘가공유’, ‘멸균우유’, ‘커피우유’

비슷하게 생긴 제품들이 줄지어 있어

고르기 어렵던 경험 있으셨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인

“우유”와 “가공유”의 차이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


우유란?

우유는 법적으로 “우유류”로 분류되며,

기본적으로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살균우유, 멸균우유, 저지방우유,

무지방우유 등이 포함되며,

유지방을 일부 제거했거나 원유성분과

유사하게 환원한 것도 해당됩니다.

 

환원유는 유가공품을 이용하여

원유성분과 유사하게 만든 제품이며,

보통 분유나 농축우유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살균 또는 멸균처리하여 생산합니다.

반응형

가공유란?

가공유는 우유류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첨가한 제품입니다.

 

예를 들어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초코우유처럼

맛이나 색을 입히기 위해 여러 성분이 추가된 제품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단, 커피 고형분이 0.5% 이상이면 '가공유'가 아닌 다른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식품공전상 강화우유, 유산균천가우유,

유당분해우유, 가공유 4가지로 분류하여 관리 있습니다.

  • 강화우유 : 비타민 또는 무기질을 강화할 목적으로 식품첨가물 첨가한 제품
  • 유산균첨가우유 : 유산균 첨가한 제품
  • 유당분해우유 : 유당을 분해 또는 제거 후 비타민, 무기질을 강화한 제품
  • 가공유 : 위의 세 가지 식품유형에 정해지지 않은 제품

두 제품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항목 우유 (우유류) 가공유
정의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한 것 우유에 식품 또는 첨가물을 가한 것
예시 흰우유, 멸균우유, 저지방우유 딸기우유, 초코우유, 바나나우유
첨가물 무첨가 향료, 색소, 당류 등 포함 가능
식품유형 우유류 가공유류
주 소비층 전 연령층 어린이, 간식용 소비자

헷갈리는 제품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제품 뒷면을 보면 식품유형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우유류’ 또는 ‘가공유류’라고 표시되어

있으니 확인해 보세요.

 

또한 원재료명도 힌트가 됩니다.

예를 들어, 딸기우유에는 ‘딸기농축액,

향료, 색소’ 등이 들어 있습니다.


우유 vs 가공유, 어떤 걸 선택할까?

건강을 생각한다면 첨가물이

없는 흰 우유, 즉 우유류가 좋습니다.

 

하지만 입맛이나 기호에 따라

가공유도 좋은 간식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당류나 인공향료가 들어간 점을

고려해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아요.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유크림과 생크림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커피 위에 올라가는 크림, 빵에 바르는 크림,

생크림 케이크에 쓰이는 크림까지,

같은 듯 다른 ‘유크림’과 ‘생크림’

명확하게 구분해 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