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공품이란?
유가공품은 말 그대로 우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을 의미합니다.
원유를 단순히 살균하거나 농축한 제품부터,
다양한 공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치즈, 버터,
분유, 연유까지 모두 유가공품에 포함됩니다.
특히 유가공품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식품 속에 아주 다양하게 쓰이기 때문에,
식품을 제대로 알고 섭취하려는
소비자에게는 꼭 알아두어야 할 정보입니다.
유가공품의 대표적인 종류
유가공품은 제조 방식과 성분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식품공전상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우유류
우유류란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것이며,
유지방분을 부분 제거했거나 유지방 성분을
조정한 제품입니다. 또한 유가공품으로 원유성분과
유사하게 환원한 것도 포함됩니다. - 가공유류
가공유류는 원유 또는 유가공품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액상의 제품을 말합니다.
단, 커피 고형분이 0.5% 이상인 제품은 제외됩니다. - 산양유
산양유란 산양의 원유를 100% 사용하여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것을 말합니다. - 발효유류
발효유류는 원유 또는 유가공품을
유산균 또는 효모로 발효시킨 것이며,
여기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추가한 제품도 포함됩니다. - 버터유
버터유는 우유의 크림에서 버터를 제조한 후
남은 것을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제품이거나,
이를 분말화한 것입니다. - 농축유류
농축유류는 원유 또는 우유류를
그대로 농축한 것이며, 또는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농축한 제품도 이에 해당합니다. - 유크림류
유크림류란 원유 또는 우유류에서
유지방을 분리한 것이며, 여기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제품입니다. - 버터류
버터류는 원유, 우유류 등에서 유지방분을 분리하거나
발효시켜 그대로 또는 식품·식품첨가물을 가해
교반, 연압 등 가공한 것을 말합니다. - 치즈류
치즈류는 원유 또는 유가공품에 유산균, 응유효소,
유기산 등을 넣고 응고, 가열, 농축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한 치즈와, 이를 원료로
가열·유화하여 만든 가공치즈를 포함합니다. - 분유류
분유류는 원유 또는 탈지유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더하거나
그대로 가공하여 만든 분말 형태의 제품입니다. - 유청류
유청류는 원유, 우유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키거나
효소, 산으로 응고시킨 후 얻은 생유청을
살균·농축하거나 분말화한 제품입니다. - 유당
유당은 탈지유 또는 유청에서
탄수화물 성분만을 분리하여 분말화한 것입니다. - 유단백가수분해식품
유단백가수분해식품은 유단백을 효소 또는 산으로
가수분해해 가공한 것이며, 여기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제품도 포함됩니다. - 유함유가공품
유함유가공품은 원유 또는 유가공품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으로, 위에 언급된
식품유형(우유류~유단백가수분해식품)에
포함되지 않는 제품을 의미합니다.
제품마다 제조 방식, 성분, 용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 유가공품을 알아야 할까?
유가공품은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식품입니다.
단백질, 칼슘, 비타민 등 필수 영양소가 풍부할 뿐 아니라,
각 제품의 가공 방식에 따라
영양소 흡수율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청단백은 빠른 흡수가 필요할 때,
치즈는 장기간 보관과 풍미를 위해 적합합니다.
또한 유제품을 사용하는 음식점, 카페, 베이커리,
식품 창업자에게도 제품 이해는 필수입니다.
소비자든 사업자든, 기본적인 유가공품 지식이 있으면
선택이 더 똑똑해질 수 있습니다.
다음 글 예고
다음 편에서는 “전지분유, 탈지분유, 가당분유 차이 완벽 정리”라는 주제로,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세 가지 분유의 핵심 차이를 자세히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유가공품 시리즈는 계속됩니다!
'식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공품 시리즈③] 우유와 가공유의 차이점 (33) | 2025.07.20 |
---|---|
[유가공품 시리즈②] 분유의 차이점 완벽 정리 (13) | 2025.07.19 |
인스턴트 식품 자주 먹는다면 꼭 챙겨야 할 기능성 성분 (16) | 2025.07.09 |
다이어트 중에도 꼭 챙겨야할 필수 영양소 보충법 (20) | 2025.07.08 |
두통약 없이도 가능한 두통 완화 방법 (13) | 202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