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유가공품 시리즈⑩] 기버터의 정체, 버터유란 무엇인가?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7. 27.
반응형

기버터의 정체

버터유란 무엇인가?

‘버터유’라는 말, 생소하게 느껴지시나요?

 

사실 이 성분은 다양한 가공식품 속에

자주 등장하는 고농도 유지방 원료입니다.

 

오늘은 버터유의 정의, 특징,

버터와의 차이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버터유란?

버터유우유의 크림에서 버터를

제조한 후 남은 액상 성분

정제해 만든 유가공품입니다.

 

이 액체는 살균 또는 멸균 처리되고,

때로는 분말화되어 분유나

제과재료로 쓰입니다.

 

식품공전상 ‘버터유’는

유가공품의 한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버터유의 특징

  • 99.8% 이상 순수 유지방
    거의 지방만 존재하는 형태
  • 산화 안정성↑
    수분이 거의 없어 보존성 우수
  • 고온 조리 적합
    고열에서도 탈지되지 않고 안정적
  • 유당·단백질↓
    유청 단백이나 유당 거의 없음
    유당불내증 소비자도 가능

기(Ghee)는 버터유일까?

기버터(Ghee)는 인도 요리에서

빠질 수 없는 전통 식재료로,

‘버터를 천천히 가열하여 수분과

단백질을 제거한 고순도 유지방’입니다.

 

사실상 버터유와 매우 유사하며,

해외에서는 기버터를

‘Clarified Butter’ 또는 ‘Butter Oil’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기버터의 특징

  • 유지방 함량 약 99% 이상
  • 수분, 단백질, 유당 거의 없음
    → 유당불내증에도 적합
  • 점도 있는 반고체 형태
    상온에서도 굳어 있음
  • 풍부한 견과류 향이 나고,
    고소한 맛이 강함
  • 발연점(연기가 나는 온도)
    약 250℃
    로 고온 조리에 적합

기버터 vs 일반 버터유

구분 기버터 (Ghee) 버터유
제조 방식 버터를 천천히 가열해 수분·단백질 제거 크림에서 버터 추출 후 남은 유지방을 정제
풍미 견과향, 고소함 ↑ 무향 또는 우유향
형태 상온 보관 가능한 반고체 액상 또는 분말 형태
원산지/용도 인도·동남아 전통 조리용 식품 가공, 초콜릿, 분유 등

 

기버터는 단순한 지방을 넘어

아유르베다에서 건강식으로도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키토제닉 식단, 간헐적 단식

실천하는 분들에게도 많이 소비됩니다.


기버터 구입 시 주의점

  • 원재료명: 100% 우유 유지방인지 확인
  • Clarified Butter 또는 Ghee Butter로 표기되기도 함
  • 가열 향이 강한 제품은 일부 소비자에게 비호감일 수 있음

마트나 온라인몰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한식에도 응용하면 고소하고

깊은 맛을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초콜릿, 분유, 커스터드,

인도식 기버터(Ghee)

다양한 식품에 쓰입니다.


버터유 vs 버터

버터유는 이름 때문에 버터와 같다고 오해할 수 있지만, 구성은 꽤 다릅니다.

구분 버터 버터유
형태 고체 (냉장 보관) 액상 또는 분말
수분 함량 약 15~20% 0.1% 이하
지방 함량 약 80% 99.8% 이상
성분 지방 + 단백질 + 수분 거의 지방만
용도 빵 발라먹기, 베이킹 식품 제조, 고온 조리

버터유 제품 구입 시 체크포인트

  • 식품유형: ‘버터유’ 또는 ‘무수유지방(Anhydrous Milk Fat)’로 표기
  • 외국 제품명: Ghee, Butter Oil 등으로 판매되기도 함
  • 보관: 분말은 상온, 액상은 냉장 보관 권장

※ 가정용보다는 업소용이나 수입식품으로 많이 유통됩니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유당불내증이 있어도 유지방을 섭취하고 싶은 분
✔ 고온에서도 잘 타지 않는 안정적인 지방을 찾는 분
✔ 초콜릿이나 분유 같은 전문 식품 원료를 알고 싶은 식품 창업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