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나 토스트 위에 달콤하게 뿌려 먹는 연유,
가끔 재료로 쓰이는 농축우유,
그리고 헷갈리는 가당연유까지.
이 세 가지 유제품은 비슷해 보이지만
제조 방식과 성분이 다릅니다.
오늘은 이 차이를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농축우유란?
농축우유는 원유 또는 우유류에서
수분만 제거한 제품으로,
가열 또는 진공공정을 통해
수분을 증발시켜 만듭니다.
설탕이나 다른 첨가물 없이,
우유의 농도만 진해진 상태입니다.
또한 유지방분을 0.5% 이하로 조정하여
제조하는 탈지농축우유로도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통 연유나 분유 제조의
중간 단계 원료로 사용됩니다.
가당연유란?
가당연유는 농축우유에
설탕을 첨가한 제품입니다.
유지방분을 0.5% 이하로 조정 후
당류를 가하여 농축한
가당탈지연유로도 분류하여
관리되고 있습니다.
흔히 우리가 연유라고
부르는 제품의 정확한 식품명칭입니다.
설탕이 약 40~45% 정도
포함돼 있어 단맛이 매우 강하며,
커피, 토스트, 과일 디핑,
베이킹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연유란?
소비자 입장에서 연유는
곧 가당연유로 인식되지만,
실제로 '연유'라는 명칭은
정확한 식품유형명이 아닙니다.
다만, 시중에서 연유라 표기된 제품은
대부분 가당연유이기 때문에
혼용해서 사용되곤 합니다.
성분표를 보면 식품유형이 가당연유
또는 당류가공품으로 표시됩니다.
또한 가공연유라는 유형도 있습니다.
원유 또는 우유류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농축한 제품입니다.
비교 정리표
구분 | 주요 성분 | 당류 첨가 | 용도 |
---|---|---|---|
농축우유 | 우유의 수분 제거 | 없음 | 가공용 원료, 조리 |
가당연유 | 농축우유 + 설탕 | 있음 (40% 내외) | 토스트, 커피, 디핑 |
연유 | (= 가당연유) | 있음 | 일반 소비자용 명칭 |
선택 팁
✔ 요리용, 가공원료로 쓸 땐 농축우유
✔ 단맛이 필요한 디저트엔 가당연유(=연유)
✔ 헷갈린다면 성분표에서 '당류 첨가 여부'를 확인하세요.
'식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공품 시리즈⑨]유청, 유청분말, 유청단백 차이 쉽게 정리! (11) | 2025.07.26 |
---|---|
그린 파우더와 단백질 보충제, 미국인의 일상이 된 건강 루틴 (24) | 2025.07.25 |
[유가공품 시리즈⑦] 탈지유, 저지방 우유, 고칼슘 우유의 차이점 (30) | 2025.07.24 |
이마트24 신상 ‘눌러밥’의 등장과 삼각김밥 시장 흐름 분석 (27) | 2025.07.24 |
가공식품, 인스턴트 식품 먹으면 변이 안 나올까? 변비와의 관계는? (60) | 202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