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유가공품 시리즈⑨]유청, 유청분말, 유청단백 차이 쉽게 정리!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7. 26.
반응형

유청, 유청분말, 유청단백

 

요즘 단백질 보충제나

건강식품에서 자주 보이는 단어,

유청(Whey), 유청분말, 유청단백.

 

비슷해 보이지만 각각 의미와

용도가 다른 유가공 성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의 차이를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드립니다.


유청(Whey)이란?

유청우유를 응고시킬 때

남는 맑은 액체 성분입니다.

 

치즈나 카세인을 만들 때

단백질 덩어리는 굳고,

그 외 수분이 분리되는데 이것이 유청입니다.

 

90% 이상이 수분이며,

단백질, 유당, 무기질이 소량 포함돼 있습니다.

 

이 상태 그대로는 유통이 어렵기 때문에

보통 가공되어 사용됩니다.


유청분말이란?

유청분말은 유청을 건조시켜 만든

분말 형태의 유제품입니다.

 

단백질보다는 유당과 무기질이 중심이며,

단맛이 살짝 있습니다.

 

이 분말은 과자, 빵, 유아식, 가공식품 등에

풍미 개선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단백질 함량은 낮고, 기능성보다는

제조용 원료로 쓰인다고 보시면 됩니다.


유청단백(Whey Protein)이란?

유청단백은 유청에서 단백질만을

고순도로 추출한 성분입니다.

 

운동 후 마시는 단백질 쉐이크에

많이 들어 있는 WPC, WPI가 이에 해당됩니다.

 

  • WPC(농축유청단백)
    단백질 약 80% 내외
  • WPI(분리유청단백)
    단백질 90% 이상으로 더 정제된 형태입니다.

소화 흡수가 빠르고, 아미노산 구성도

우수해 근육 회복, 영양 보충에 적합합니다.


한눈에 보는 비교표

구분 형태 주요 성분 용도
유청 액상 수분, 유당, 소량 단백질 치즈 부산물, 원료
유청분말 분말 유당, 미네랄, 단맛 가공식품 풍미용
유청단백 고농축 분말 단백질 80~90% 보충제, 헬스영양식

이렇게 활용하세요

✔ 가공식품 원료엔 유청분말
✔ 단백질 보충이 목적이면 유청단백
✔ 유청 자체를 쓰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원료 이해는 중요합니다.

 

제품 라벨에 ‘WPC’, ‘WPI’, ‘유청분말’이

보인다면 오늘 내용을 떠올려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