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백질 보충제 속
'유청단백', 정확히 뭘까?
단백질 파우더나 헬스보충제를 구매할 때,
가장 흔히 보이는 단어 중 하나가
‘유청단백’ (Whey Protein)입니다.
하지만 이게 유가공품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유청단백의 정체와 분류,
제품 고르는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유청단백이란?
유청(Whey)은 우유에서 치즈나 분유 등을
만들 때 응고 후 남는 맑은 액체를 말합니다.
이 유청 속에는 단백질, 유당,
무기질 등이 포함돼 있는데,
이 중에서 단백질만을 추출하고
농축한 것이 '유청단백'입니다.
즉, 치즈의 부산물에서 단백질만
뽑아낸 고기능성 유제품입니다.
WPC, WPI, WPH
어떤 차이가 있을까?
- WPC (Whey Protein Concentrate)
단백질 함량 약 70~80%,
유당과 지방도 일부 포함
맛이 고소하고 가성비 좋음 - WPI (Whey Protein Isolate)
단백질 함량 90% 이상, 유당은 거의 없음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도 비교적 OK - WPH (Whey Protein Hydrolysate)
효소로 단백질을 미리 분해해 흡수 빠름
소화 흡수에 민감한 사람에게 적합
각각의 제품은 목적에 따라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유와 유청단백의 차이
둘 다 우유에서 나온 분말이지만,
성분과 용도가 다릅니다.
구분 | 원료 | 단백질 함량 | 주 용도 |
---|---|---|---|
분유 | 원유, 탈지유 | 20~35% | 조리, 제빵, 음료 |
유청단백 | 유청 (치즈 부산물) | 70~95% | 헬스보충제, 고단백식품 |
유청단백 섭취 시 주의사항
- 유당불내증
WPC는 유당이 일부 남아 있을 수 있음 - 단백질 과잉
하루 필요량 이상 섭취 시 신장 부담 주의 - 식물성 단백질과 혼동 금지
유청단백은 동물성 단백질
헬스 제품을 고를 때,
단순히 '단백질'만 볼 게 아니라
그 출처가 유청인지,
농도는 어느 수준인지도 중요합니다.
반응형
'식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동 빵류 식중독 사고, 스마트 해썹과 지능형 온도스티커로 막아야 (17) | 2025.07.28 |
---|---|
[유가공품 시리즈⑪] 디저트 속 유제품, 우리가 모르게 먹고 있는 유가공 성분들 (21) | 2025.07.28 |
[유가공품 시리즈⑩] 기버터의 정체, 버터유란 무엇인가? (16) | 2025.07.27 |
‘헤징 푸드’란? 기후 위기 시대, 식품산업의 새로운 전략 (16) | 2025.07.26 |
[유가공품 시리즈⑨]유청, 유청분말, 유청단백 차이 쉽게 정리! (14)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