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냉동 빵류로 인한 대규모 식중독
2025년 5~6월, 충북 청주와 진천에
위치한 집단급식소에서 냉장·냉동 상태로 유통된
딸기크림 롤케이크와 초코바나나빵을 섭취한
학생 및 교직원 총 256명이
식중독 증세를 보였습니다.
해당 제품은 즉시 판매 중단 및
전량 회수 조치되었지만,
사건은 이미 전국적인 불안을 야기했습니다.
이는 2018년 초코케이크로 2천 명 이상이
감염되었던 유사 사건을 떠올리게 하며,
반복되는 유사 사고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냉동 빵류가 식중독에 특히 취약한 이유
냉장·냉동 식품은 보존 온도 유지가 생명입니다.
유통·배송 과정 중 잠깐의
상온 노출만으로도 세균이 빠르게
증식할 수 있습니다.
최근 냉동 케이크와 생지를
배송한 차량이 점포 도착 후에도
2시간 넘게 상온 방치된 사례가 확인되며,
이러한 관리 부주의가 대규모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냉동 빵류는 일반적인 고온 가열 없이
섭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염된 원료나 위생 관리 미흡이
직접적으로 소비자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유치원, 초·중·고 급식에서
자주 제공되는 제품인 만큼,
더 엄격한 품질 관리와
온도 감시 체계가 필요합니다.
살모넬라균이란 무엇인가?
살모넬라균(Salmonella)은
사람이나 동물의 장 속에 서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식중독균으로,
날고기·달걀·유가공품·제과류 등
다양한 식품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특히 25~40℃의 온도에서 빠르게 증식하며,
음식을 섭취하면 6~72시간 내에
복통, 설사, 구토, 고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살모넬라균 감염은
특히 어린이, 노약자,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며,
심할 경우 탈수나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세척과 가열로는
어느 정도 사멸이 가능하지만,
가공식품의 보관·유통 중
오염과 온도 상승이 발생하면
즉시 대량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균입니다.
지능형 온도스티커(TTI),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예방장치
지능형 온도스티커(TTI, Time Temperature Indicator)는
제품 포장에 부착하여, 유통 중의 시간 및 온도 이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라벨입니다.
일정 온도 이상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티커의 색이 변해,
유통 과정 중 냉장·냉동 유지가 잘 되었는 지를
소비자와 판매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TTI 기술이
이미 유제품, 육류, 수산물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식품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TTI 도입 의무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단체 급식이나 유아 식품처럼
위험 민감도가 높은 품목부터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스마트 해썹 도입,
단순한 지침이 아닌 디지털 위생관리
기존의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은
대부분 수기 문서와 매뉴얼 중심으로 이뤄졌지만,
스마트 해썹(Smart HACCP)은 여기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를 접목한
디지털 관리 체계입니다.
식품 제조 및 유통 단계에서
센서를 통해 온도·습도·오염 가능성 등을
자동으로 수집·분석하고,
실시간 경고와 문제 탐지를 통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게 만듭니다.
소비자와 K-푸드 수출을 위한 필수 조건
대한민국 식품은 전 세계적으로
‘K-푸드’로 주목받으며
수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식중독 사고가 반복된다면,
해외 수입국의 신뢰를 잃고
수출 규제 또는 브랜드 이미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식품 산업은
결코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제는 더 이상 예방을 미루지 말고,
과학 기반 식품안전 관리 체계를
국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 같습니다.
'식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공품 시리즈⑪] 디저트 속 유제품, 우리가 모르게 먹고 있는 유가공 성분들 (21) | 2025.07.28 |
---|---|
[유가공품 시리즈⑩] 기버터의 정체, 버터유란 무엇인가? (16) | 2025.07.27 |
‘헤징 푸드’란? 기후 위기 시대, 식품산업의 새로운 전략 (16) | 2025.07.26 |
[유가공품 시리즈⑨]유청, 유청분말, 유청단백 차이 쉽게 정리! (14) | 2025.07.26 |
그린 파우더와 단백질 보충제, 미국인의 일상이 된 건강 루틴 (24)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