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트랜스지방5

[식용유지류 외전] 트랜스지방, 왜 문제일까? 무조건 0g이면 괜찮은 걸까?트랜스지방이라는 단어는 한때식품업계를 뒤흔든 키워드였습니다. ‘트랜스지방 0g’이라는 문구가 제품 앞면에커다랗게 인쇄되던 시절,소비자들은 무조건 트랜스지방이없어야 안전하다고 믿었죠. 하지만 0g 표시에도 불구하고 트랜스지방이‘완전히 없는 것’은 아닐 수 있습니다. 이번 외전에서는 트랜스지방이 무엇이고,왜 문제가 되었는지, 현재 규제 기준은 어떤지,소비자는 무엇을 주의해야 하는지를 정리해드립니다.1. 트랜스지방이란?트랜스지방은 지방산의 이중결합 구조가‘트랜스(Trans)’ 형태로 배열된 지방을 말합니다. 불포화지방산을 인위적으로 고체화하기 위해수소를 첨가하는 공정(부분경화과정)에서 주로 생성되며,마가린, 쇼트닝, 냉동 베이커리, 튀김유 등다양한 가공식품에 쓰여 왔습니다. 자연적.. 2025. 4. 30.
[식용유지류 시리즈 ⑪] 마가린, 쇼트닝, 식물성 크림 – 가공된 기름의 명암 가공 유지, 식물성인가 건강한가식물성 기름이 몸에 좋다는 인식은 오랫동안 이어져 왔습니다. 이 흐름에 맞춰 등장한 마가린과 쇼트닝, 식물성 크림 등은‘버터나 라드보다 더 가볍고 건강한 선택’처럼여겨지며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식생활이 발전하고 건강 정보가 공유되면서,가공유지에 대한 시선도 점차 달라졌습니다. 특히 트랜스지방과 관련된 건강 이슈가부각되면서 그에 대한 우려도 커졌죠. 이번 글에서는 가공 유지류의 종류와 쓰임, 장단점, 그리고 최근의 변화 흐름까지 짚어봅니다.1. 가공 유지란 무엇일까?가공 유지류는 식물성 유지나 동물성 유지를가공해 고체 상태로 만든 기름을 말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마가린과 쇼트닝이며,최근에는 식물성 크림도 유사한 맥락에서함께 분류되기도 합니다. 이들 제품은 원래 버.. 2025. 4. 28.
[식용유지류 시리즈 ③] 콩기름, 가장 익숙하지만 가장 논란 많은 기름 ‘국민 기름’의 명암식용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름, 콩기름. 마트 진열대에서 대용량으로 흔히 볼 수 있고,우리 식탁에 가장 오랫동안 자리한 기름이기도 합니다. 가격도 착하고, 튀김부터 부침, 볶음까지 활용도도 높죠. 하지만 최근에는 콩기름에 대해 이런저런 말들이 들려옵니다.'오메가-6가 많아 염증을 유발한다', 'GMO 콩이 사용된다','정제 과정이 건강에 좋지 않다' 등 여러 우려도 존재하죠. 이번 글에서는 콩기름의 탄생 배경부터 특징, 논란,그리고 제대로 고르는 방법까지 정리해드릴게요.1. 콩기름의 탄생과 보급콩기름은 20세기 초 미국에서 산업화되기 시작해,1950년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본격적인 대량생산이 이뤄졌습니다. 한국에서는 1970~80년대 경제성장과 함께식용유 수요가 급증하면서,가격 .. 2025. 4. 24.
[식용유지류 시리즈 ①] 식용유, 알고 쓰고 계신가요? 기름, 매일 쓰지만 잘 모르고 있다면?우리가 매일 요리할 때 사용하는 '기름'. 마트에서 무심코 고른 그 기름이 어떤 종류인지,어떤 용도로 적합한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튀김에는 어떤 기름이 좋을까?들기름과 참기름의 차이는 뭘까?버터는 몸에 나쁠까?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이번 시리즈에서는 식용유지류에 대해하나씩 차근히 파헤쳐보려 합니다. 식용유지류는 식물성 기름, 동물성 기름,그리고 마가린이나 쇼트닝처럼가공된 유지류까지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본편에서는 이 세 가지를 어떻게 구분하고,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를 쉽게 풀어드립니다.1. 식용유지류란?식품공전에 따르면,'식용유지류'는 사람이 섭취할 수 있도록정제된 지방성 물질을 말합니다.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식물성 .. 2025. 4. 22.
[강조표시 시리즈 ⑥] 저지방? 무지방? 지방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드시나요? 최근 다이어트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지방', '무지방', '지방을 줄였어요' 같은 문구가 붙은 식품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표시들,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드시나요?이번 글에서는 지방 섭취의 현실, 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방 관련 표시 기준과 허용 오차까지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1. 한국인의 지방 섭취 현황2023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성인 남성의 하루 평균 지방 섭취량은 62.2g ,여성은 47.6g이었고,지방과잉섭취자 비율은 2022년 5.9%에서 2023년 7.6%로 전년 대비 1.5% p 증가했습니다.WHO 권장 범위(총 열량의 15~30%) 안에는 있지만,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의 과잉 섭취 위험은 여전히 존재합니다.2. 지방 섭취가 건강에 끼치는 영향지방은 에.. 2025.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