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유지류 시리즈 ⑨] 동물성 기름, 아직도 쓰이나요?
식물성 기름 시대, 동물성 기름은 사라졌을까?식물성 기름이 건강과 환경을 앞세워 대세가 된 요즘,동물성 기름은 상대적으로 조명을 덜 받습니다. 버터는 여전히 사랑받지만, 라드(돼지기름),우지(소기름) 같은 전통 유지들은“요즘도 쓰이나?” 싶은 분들도 많죠. 하지만 동물성 유지류는 여전히일부 요리나 제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다시 '리얼한 맛'을 찾는 흐름 속에서재조명받고 있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동물성 유지의 정의와 종류,쓰임새, 그리고 시장에서의 흐름을 정리해볼게요.1. 동물성 유지란?동물성 기름은 말 그대로 동물의 지방조직에서추출한 기름을 말합니다. 돼지, 소, 양 등 육류의 지방층을 가열하거나 압착해 기름을 얻으며, 주로 고체 혹은반고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동물성 유지로는..
2025. 4. 27.
[강조표시 시리즈 ⑥] 저지방? 무지방? 지방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드시나요?
최근 다이어트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지방', '무지방', '지방을 줄였어요' 같은 문구가 붙은 식품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표시들,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드시나요?이번 글에서는 지방 섭취의 현실, 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방 관련 표시 기준과 허용 오차까지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1. 한국인의 지방 섭취 현황2023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성인 남성의 하루 평균 지방 섭취량은 62.2g ,여성은 47.6g이었고,지방과잉섭취자 비율은 2022년 5.9%에서 2023년 7.6%로 전년 대비 1.5% p 증가했습니다.WHO 권장 범위(총 열량의 15~30%) 안에는 있지만,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의 과잉 섭취 위험은 여전히 존재합니다.2. 지방 섭취가 건강에 끼치는 영향지방은 에..
2025.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