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과일잼 고르는 법, 이것만 보면 끝!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4. 19.
반응형

아침 식탁 위의 단골손님, 과일잼

마켓에서 자주 마주치는

제품 중 하나가 바로 잼류입니다.

 

딸기잼, 포도잼, 블루베리잼 등

종류도 다양한데요.

 

제품마다 '잼', '기타잼'

다르게 표기되어 있어

헷갈린 적 없으셨나요?

 

겉보기에 비슷하지만,

사실 이 표기엔 중요한 기준

숨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과일잼을 고를 때

꼭 알아야 할 표시 정보를 정리해 드릴게요.


1. "잼"과 "기타잼"의 차이,
알고 계셨나요?

식품공전상 잼류의 정의

잼류는 과일류, 채소류, 유가공품 등을

당류와 함께 젤리화 또는

시럽화한 제품을 말합니다.

 

식품유형상 잼과 기타잼으로 구분됩니다.


  • 과일류 또는 채소류가 생물 기준
    30% 이상들어 있어야 하며,
    젤리화된 제품입니다.
    대표적으로 딸기잼, 블루베리잼이 이에 해당합니다.
  • 기타잼
    과일, 채소, 유가공품 등이 들어가되
    생물 기준 20% 이상
    시럽 형태이면 해당되며,
    밀크잼, 과일파이필링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2. 과일잼인데 과일은 얼마일까?

제품명에 "딸기잼"이라
적혀 있어도 실제 딸기 함량
천차만별입니다.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르면

제품명에 원재료명이
포함된 경우에는 주표시면에
원재료 함량(%)도 함께 표기해야 합니다.

 

예: 딸기잼(딸기 35%)

 

하지만, 그런 제품은 찾기 어렵지만
'딸기향잼'처럼 '향'만 사용한 경우라면,

실제 과일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대신 "합성딸기향 첨가"라는

표시가 들어가야 합니다.

 

특히 주의할 점!

과일 원물 함량이 0%라면,

아예 잼류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식품유형은 '당류가공품'
또는 '기타가공품'
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고,
제품명에도 '잼'이라는
단어 사용이 부적절할 수 있어요.

따라서 제품의 식품유형과
원재료 구성, 과일 함량 등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3. 시중 제품 예시로 보는 표시의 차이

  • A사 딸기잼
    딸기 40% 사용,
    당도는 낮지만 과일 함량이 높은 편.
  • B사 딸기맛 시럽
    딸기추출물이나 합성향만 사용,
    딸기 원물 함량은 0%.
    식품유형은 잼이 아닌
    당류가공품으로 추정됨.
  • C사 밀크잼
    과일은 없고 유가공품과
    당류만으로 만든 기타잼 유형.

이처럼 동일한 "잼"이라도

실제 원재료 구성은 매우 다르며,

제품 뒷면 원재료명과

식품유형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4. 과일잼 고를 때 체크해야 할 5가지 포인트

  • 식품유형
    '잼'인지 '기타잼'인지 구분하기
  • 과일함량
    원재료명과 괄호 안 % 확인하기
  • 합성향 사용 여부
    '향' 또는 '향료'라는 단어가 있는지
  • 당류 함량
    1회 섭취량당 당류함량 확인
  • 보조원료
    유가공품, 색소, 보존료 등
    사용 여부도 고려

과일잼, 단맛 너머의 정보도 살펴보세요

잼은 단순한 아침 식사용 스프레드를 넘어,

가공 방식과 원료에 따라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과일이 많이 들어간 잼일수록

당도는 낮을 수 있고,

향만 입힌 제품은 과일 본연의

영양은 기대하기 어렵죠.

 

소비자 스스로 식품유형과

원재료, 영양표시를

꼼꼼히 살피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