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원산지 표시기준①] “국산일까, 수입일까?” 헷갈리는 원산지 표시, 제대로 알고 있나요?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4. 20.
반응형

블로그 썸네일

"국산", "국내산", "00산"…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

마트에서 장을 볼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

바로 원산지입니다.

 

“국산 김치”, “충북 보은 고사리”,

“00농장 계란”… 다들 익숙한 표시죠.

 

하지만 소비자들은 ‘정확히 어떤 기준으로

원산지를 붙이는지’ 알고 있을까요?

 

특히 고사리(치악산)처럼

지명은 맞지만 행정구역이 아닌 경우,

실제로는 허위 표시가 될 수 있다는 사실!

 

이 글에서는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식품 속 ‘원산지 표시제도’의 기본과

헷갈리기 쉬운 오해들을 정리해드립니다.


1. ‘국산’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원산지 표시의 정의와 시장 현황

원산지 표시란, 식품이나 농산물이

어디에서 생산되었는지 소비자에게

알리는 표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국산 농산물 222품목,

수입 및 반입품 161품목,

국내 제조·가공 농산물 280품목까지

폭넓게 포함돼 있습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가

시작되었을 때부터 현재까지,

그 기준은 소비자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장치로 자리 잡았으며,

 

소비자들이 더욱 신뢰할 수 있도록

원산지의 정확한 표시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시장에서

원산지 표시를 잘못하거나 생략하면

과태료나 벌금등이 부과될 수 있어,

 

원산지 표시를 정확하게 해야 하는 이유는

법적 책임뿐만 아니라 소비자 신뢰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2. 법적 기준이 궁금하다면?

국내외 기준은 이렇게 다릅니다

국내 원산지 표시 기준

「농수산물의 원산지표시 요령」 및 「대외무역법」,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 국산/국내산 : 시·도명, 시·군·구명까지 표기 가능
  • 수입품 : 반드시 ‘국가명’으로 표시해야 하며,
    ‘유럽산’, ‘워싱턴’처럼 대륙명·지방명 표기는 부적절

📍 '치악산', '덕곡리'등은
행정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원산지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한편, 미국 USDA나 EU 원산지 규정 등
해외도 엄격한 표시제도를 두고 있지만,

국내와는 적용 범위나 예외 조항에서

일부 차이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EU)에서는

수입 제품에 대한 원산지 표기 방식이

매우 구체적이며, 수입산의 경우

100% 명시해야 한다는 점에서

국내 기준과 차이가 있습니다​.


3. "혼합 원료일 땐 어떻게 표시하나요?"

반응형

애매한 상황, 명확한 기준

  • 국내산 여러 지역 혼합
    → ‘국산’ 또는 혼합 비율 높은
    순서대로 3개 지역까지 표시 가능
    예: 쌀(이천시 40%, 철원군 25%, 파주시 20%)
  • 국내산 + 외국산 혼합
    → ‘국산 40%, 중국 30%, 미국 20%’ 식으로
    3개국까지 혼합비율 표시

여기서 주의할 점은 원산지의

순서와 표시의 일관성입니다.

 

만약 제품에 혼합 원료가 포함된 경우,

비율을 정확하게 기재하고

혼합되는 원산지를 명확하게 표시해야

소비자가 오해하지 않습니다.

 

이 과정에서 혼합비율이 중요한 요소가 되며,

비율이 상위 3순위 이내에 있는 원료는

반드시 원산지를 기재해야 합니다.


4. 실전 사례 분석

이런 문구, 믿어도 될까요?

  • ❌ “치악산 고사리”
    지역명은 있지만 행정구역 아님
  • ❌ “유럽산 돼지고기”
    대륙명은 부정확한 표시
  • ✅ “보은군 고사리”“미국산 쇠고기”
    행정구역 및 국가명으로 정확히 표시된 예

이러한 사례들은 우리가 실제로

쇼핑할 때 실수로 잘못된 원산지 정보

믿고 구매하게 되는 상황을 잘 보여줍니다.

 

실제 원산지 표시가 정확하지 않거나

애매한 경우에는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원산지 확인을 다시 한 번 해야 합니다.

 

정확한 원산지 표시는

소비자 보호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원산지 확인, 건강과 신뢰의 첫걸음입니다"

우리가 먹는 식재료가 어디에서 왔는지 아는 것,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소비자의 권리입니다.

 

원산지 표시제도는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신뢰와 안전을 위한 장치입니다.


앞으로도 원산지 표시기준 시리즈를 통해

더 정확한 정보와 함께

소비자 주권을 지키는 콘텐츠로 찾아올게요!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농산물 및 가공품 원산지 표시 종합안내」(2024)
식약처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2024.7.24)
 

[원산지 표시기준②] 국산의 기준은 어디까지?, 원산지 전환 기준!

농산물부터 고기까지, 원산지 헷갈리는 순간들마트에서 "국산 도라지", "국산 인삼"을 봤는데 어딘가 익숙치 않은 느낌... 알고 보니 중국에서 이식한 뒤 국내에서 재배한 것이라면? 또 어떤 돼지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③] “온라인 판매는 예외일까?” 통신판매 시 원산지 표시, 꼭 필요할까?

클릭 한 번으로 장보는 시대, 원산지도 함께 보이나요?요즘 식재료는 마트보다온라인 쇼핑으로 더 자주 구매하게 되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배달앱, 소셜커머스, 심지어 SNS DM까지…이처럼 편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④] “속이면 큰일 납니다” 원산지 표시 위반, 어떤 벌칙이 있을까?

‘국산’이라고 믿었는데,알고 보니 외국산? 그 뒷이야기요즘 식품 포장지엔 빠짐없이 적혀 있는 원산지. 하지만 허위표시, 혼합비율 누락,표기 생략등의 사례도 여전히 빈번합니다. 한때 ‘국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⑤-1] “가공식품 원재료의 원산지 표시, 어디까지 봐야 할까?”

‘국산’이라는 말,어디까지 믿어야 할까?가공식품에서 흔히 마주치는 문구 ‘국산’.그런데 정말 모든 재료가 국산일까요? ‘국산’이라는 단어가 소비자에게 주는신뢰감은 크지만, 표시기준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⑤-2] “가공식품 원산지 표시, 복합원재료와 김치류는 특별하다?”

복합원재료와 김치·절임류,표시기준은 다릅니다가공식품에 사용되는원재료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특히 김치류나 절임류처럼전통 식품의 경우 소비자의 신뢰가중요한 만큼 별도 표시 기준이

food-father.com

 

[원산지 표시기준⑥]“국산인가? 수입산인가?” 소비자를 위한 원산지 표시 체크리스트 총정리

식탁 위 신뢰, 원산지에서 시작됩니다소비자가 식품을 선택할 때가장 먼저 보는 정보 중 하나가바로 ‘원산지’입니다.“국산 김치”, “국내산 고사리”, “00농장 계란”…대부분의 소비자들

food-fath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