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류 시리즈①] 장의 세계,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한국 식문화의 뿌리를 이야기할 때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장(醬)입니다. 간장, 된장, 고추장은그 자체로도 하나의 음식이지만,수많은 요리의 맛을 완성시키는핵심 재료로 자리 잡고 있죠. 국, 찌개, 나물, 조림, 구이까지,장이 빠진 한국 음식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그만큼 장류는 단순한 양념이 아닌'맛의 근간'이자, 세대를 넘어 전해 내려오는문화 그 자체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토록 중요한장류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요?1. 장류는 왜 중요한가요?장이라고 하면 흔히간장, 된장, 고추장을 떠올리지만,사실 장류에는 훨씬 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한식간장과 양조간장의 차이,산분해간장은 또 뭘 의미하는지, 고추장은 어떤 원료를 얼마나 넣어야고추장이라 불릴 수 있는지, 된장과 혼합장의 경계는 어떻게 구분되..
2025. 4. 23.
[원산지 표시기준⑤-2] “가공식품 원산지 표시, 복합원재료와 김치류는 특별하다?”
복합원재료와 김치·절임류,표시기준은 다릅니다가공식품에 사용되는원재료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특히 김치류나 절임류처럼전통 식품의 경우 소비자의 신뢰가중요한 만큼 별도 표시 기준이정해져 있습니다. 이번편에서는 앞에서 다룬 기본 구조와예외 원료 기준에 이어, 복합원재료 표시기준,김치류 및 절임류 표시기준,김치가 복합원재료로 쓰일 경우의 표시기준,그리고 실제 사례 비교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1. 복합원재료 표시 기준복합원재료란 두 가지 이상의식품 원료로 구성된 재료로, 김치, 된장,양념소스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복합원재료가 전체 제품의 원재료 중상위 3순위 이내일 경우,원산지 표시가 의무입니다. 이 경우 해당 복합원재료 안의농수축산물 성분 중 상위 2개 원료의원산지를 함께 표시해야 합니다. 예시: 김..
2025. 4. 21.
[원산지 표시기준③] “온라인 판매는 예외일까?” 통신판매 시 원산지 표시, 꼭 필요할까?
클릭 한 번으로 장보는 시대, 원산지도 함께 보이나요?요즘 식재료는 마트보다온라인 쇼핑으로 더 자주 구매하게 되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배달앱, 소셜커머스, 심지어 SNS DM까지…이처럼 편리한 온라인 쇼핑은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식품 소비 시장도 그 안에서급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품 설명에는 ‘국산 고사리’라더니,막상 결제창에는 원산지가 없거나,배송된 제품에 적힌 건 중국산이었다면? “온라인은 원산지 표시 예외 아냐?”라는 오해, 이제는 그만!이번 글에서는 통신판매 시원산지 표시 의무와 위반 사례, 소비자 체크포인트까지 쏙쏙 알려드립니다.1. 통신판매에서도 원산지 표시 ‘의무’입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표시 요령」 제4조 및 부칙에 따르면,인터넷, 모바일, 전화 등 비대면 판매도 원산지 표시가 ..
2025.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