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양정보읽기12

[영양성분 단위가 헷갈릴 때] mg, μg, IU 정리해드립니다 ⚖ 숫자는 같아도 단위는 다르다? – 헷갈리는 영양성분 단위 정리해드립니다식품 포장지에 적힌 ‘300mg’, ‘25μg’, ‘1,000IU’… 숫자는 모두 익숙하지만, 그 단위가 어떤 의미인지까지 알고 계신가요? mg, μg, IU 등은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영양소의 특성과 기능을 반영한 과학적 표시 단위입니다.예를 들어 비타민D는 μg과 IU가 병행되기도 하고, 단백질은 g 단위로, 철분은 mg 단위로 표기됩니다. 이런 단위 차이를 모르고 숫자만 보면, 섭취량을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하는 실수가 생기기 쉽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식품 라벨에 표시된 영양성분 단위의 종류와 그 의미, 그리고 소비자가 숫자를 제대로 해석하기 위한 기준까지 정리해드립니다.1. mg, μg, IU… 단위는 왜 이렇게 복잡할까?식.. 2025. 5. 25.
[‘1회 제공량’은 누구를 위한 기준?] 열량 착시를 읽는 법 🧮 열량이 낮다고? 1개 기준일 뿐입니다‘1개당 75kcal’, ‘1회 제공량당 90kcal’라는 문구를 보면, 소비자는 왠지 ‘이거 건강하겠다’, ‘괜찮은 간식이네’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잠깐, 그 ‘1개’가 한 봉지 전체를 뜻하는 건 아닐 수 있습니다.많은 식품 포장지에는 열량을 작게 보이게 하기 위해 ‘1회 제공량’을 의도적으로 작게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품은 3개 들어 있는데, 표기는 1개당 열량으로만 표시되어 있다면? 전체 열량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많을 수 있죠.이번 글에서는 ‘1회 제공량’ 기준 열량 표기의 허와 실, 실제 섭취량을 기준으로 열량과 당류를 어떻게 다시 계산해야 하는지, 소비자가 빠지기 쉬운 착시 포인트까지 함께 살펴봅니다.1. serving size,.. 2025. 5. 21.
[‘총내용량’ vs ‘낱개표시’] 소비자는 왜 헷갈릴까? 📐 ‘총 내용량’과 ‘내용량(g)’, 같은 숫자지만 해석은 다르다?마트나 편의점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총 내용량 200g(20g × 10개)’처럼 적힌 포장지를 본 적이 있으신가요? 숫자는 분명해 보이지만, 실제 구성이나 섭취량을 오해하게 만드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총 내용량, 개별 중량, 낱개 수량은 같아 보여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정보는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총 내용량’과 ‘내용량(g)’이라는 용어의 차이를 중심으로, 포장지에 숨겨진 정보 구조와 소비자가 놓치기 쉬운 포인트들을 짚어봅니다. 온라인 쇼핑, 간편식, 개별포장 제품처럼 정보가 더욱 모호해지는 환경 속에서 표기 숫자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숫자의 진짜 의미를 함께 풀어보겠습니다.1. 총 내용량과 낱개량, 같은 .. 2025. 5. 17.
[장류 시리즈⑩] 영양성분으로 본 장류, 짜지만 영양도 있나요? 장류는 오랫동안 '짠 음식'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최근에는 그 영양적 가치에 대한재조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된장, 고추장, 청국장 등은각각 고유의 발효 과정과 원재료를 통해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를공급하는 식품으로 평가받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시판 장류의 영양 성분을 중심으로,긍정 요소와 주의할 점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장류 속 주요 영양소발효의 선물된장대두를 기본으로 하는 된장은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며,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미노산, 효소, 유기산 등이 장 건강과 소화력에 도움을 줍니다.고추장고추장의 경우, 곡물과 고춧가루의 혼합으로 인해 비타민 E, 비타민 B군, 항산화 성분을 일부 함유하고 있으며, 당화된 탄수화물은 에너지 공급에도 기여합니다.청국장단백질 함량이 높.. 2025. 5. 3.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③-1] 탄산음료 표시 기준 제대로 알기 톡 쏘는 청량감 뒤에 숨겨진 기준들날씨가 더워지면 시원한 탄산음료 한 잔 생각나죠. 최근엔 제로콜라, 기능성 탄산음료, 과즙 탄산음료 등 선택지가 무척 다양해졌습니다. 그런데 이런 음료들, 단순히 '탄산이 있다'는 이유로 모두 같은 기준을 따를까요? 특히 건강을 생각해 선택하려는 소비자에게는 '제로', '무설탕', '에너지 드링크' 같은 문구가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탄산음료류의 정의와 표시기준, 그리고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를 살펴보겠습니다. 1. 탄산음료류란? 식품공전상 기준식품공전에 따르면, '탄산음료류'는 탄산가스를 포함한 음료로탄산음료, 탄산수를 말합니다.탄산음료 : 먹는 물에 또는식품첨가물과 탄산가스를혼합한 것이거나 탄산수에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것탄산수.. 2025. 4. 8.
[에너지음료 속 카페인·타우린 3편] 디카페인, 정말 카페인 없을까? 디카페인 커피, 카페인 걱정 없이 마셔도 될까요?많은 분들이 “디카페인이면 완전 무카페인”이라고 생각하지만,실제로는 일정량의 카페인이 남아있어요.이번 글에서는 디카페인의 정확한 정의부터,국내외 표시기준, 누가 디카페인을 선택해야 하는지,그리고 소비자 체크리스트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립니다.1. 디카페인 시장, 왜 점점 커질까?MZ세대의 건강 관심 증가수면의 질, 불안장애, 임산부의 섭취 제한 등다양한 이유로 카페인 회피 소비자 증가스타벅스, 투썸, 이디야 등 커피 프랜차이즈의 디카페인 옵션 강화디카페인 제품 매출이 전년 대비 증가하는 경향출처"디카페인으로 주세요"…스타벅스 디카페인 음료 판매량 1년 만에 55% 껑충 - CBC뉴스 | CBCNEWS이디야커피, 디카페인 커피 판매량 전년 대비 40% 증가2... 2025.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