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기름의 대명사, 식물성 유지
식물성 기름이라고 하면 왠지 건강할 것 같고,
동물성 지방보다 안전하다는
이미지가 떠오르지 않나요?
실제로 많은 소비자가 요리용 기름을 고를 때
‘식물성’이라는 단어를 보고 안심하곤 합니다.
하지만 모든 식물성 기름이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
어떤 원료에서 추출했는지, 어떻게 정제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쓰이는지에 따라
그 영향은 크게 달라지죠.
이번 글에서는 식물성 기름이 무엇인지부터,
국내외 시장 흐름과 트렌드, 소비자의 선택 기준까지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
1. 식물성 유지란 무엇인가요?
식물성 유지는 곡류, 두류, 견과류, 씨앗류, 과실 등
식물에서 추출한 기름을 뜻합니다.
주로 씨앗을 압착하거나, 화학 용매를 이용해
지방을 추출한 뒤 정제하여 식용으로 사용합니다.
📌 대표적인 식물성 유지 종류:
- 대두유 (콩기름)
- 카놀라유
- 해바라기유
- 포도씨유
- 올리브유
- 팜유 등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서는
"식물성 유지"를 원료 기준으로 세부 분류하고 있으며,
'정제유', '압착유', '엑스트라 버진'처럼
제조 방식에 따른 차이도 명확히 구분하고 있습니다.
2. 식물성 기름의 분류 기준
식물성 유지는 원료와
제조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① 원료 기준
- 씨앗류 :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참기름
- 과실 :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 열대작물 : 팜유, 코코넛오일 등
② 정제 방식 기준
- 정제유(refined oil) : 불순물 제거, 색상·냄새 제거로 깔끔한 맛. 대량생산에 적합
- 압착유(expeller-pressed oil) : 기계로 눌러 기름을 짜내는 방식. 향이 풍부함
- 냉압착유(cold-pressed) : 고온 처리 없이 착유하여 영양소 파괴가 적음
- 엑스트라버진(Extra Virgin) : 주로 올리브유에서 사용되는 최고등급의 냉압착 기름
3. 국내외 식물성 유지 시장 트렌드
✅ 글로벌 시장
팜유는 여전히 전 세계 식용유 소비량의
약 1/3을 차지하며 가공식품 산업에서 핵심 원료로 쓰입니다.
반면, 소비자 건강 의식 상승으로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등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 중입니다.
아보카도유, 호호바오일, 코코넛오일 등
프리미엄 식물성 유지도 고소득층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국내 시장
국내에서도 대두유(콩기름)가 여전히 가장 많이 사용되며,
가격 대비 용도 활용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저온착유, 유기농, 무첨가를 강조한
기름 제품이 늘어나고 있으며, 백화점·온라인 중심으로
고급 기름 시장이 성장 중입니다.
▶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하루 평균 지방을 57.7g 섭취하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특히 '식물성 기름 = 건강'이라는 인식이 강해지며,
포화지방이 적고 오메가-3/오메가-6 지방산이
풍부한 기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4. 식물성 기름 고를 때 무엇을 봐야 할까?
✔ 정제 방식
- 정제유는 안정성과 경제성이 높지만, 향과 영양소는 줄어들 수 있음
- 냉압착이나 저온착유 제품은 고가이지만, 자연 그대로의 성분을 보존
✔ 용도에 맞는 선택
- 튀김용 : 발연점이 높은 카놀라유, 포도씨유
- 드레싱용 : 향이 풍부한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유, 들기름
- 볶음용 : 고온안정성과 향의 균형이 좋은 해바라기유, 참기름
✔ 영양성분 확인
포화지방보다 불포화지방(특히 오메가-3) 비율이 높은 제품 추천
식물성 유지, '건강한 기름'을 넘어선 선택 기준
식물성 기름은 단순히 '식물에서 나왔다'는
이유만으로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원료, 정제 방식, 영양 성분, 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진짜
내 몸에 맞는 기름을 고를 수 있죠.
다음 글에서는 식물성 유지 중에서도
가장 흔하고도 오래된 기름,
콩기름에 대해 깊이 파헤쳐보겠습니다.
📌 참고자료 및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
질병관리청 『2023 국민건강통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등의 표시기준 고시』 (2024.07.24)
[식용유지류 시리즈 ①] 식용유, 알고 쓰고 계신가요?
기름, 매일 쓰지만 잘 모르고 있다면?우리가 매일 요리할 때 사용하는 '기름'. 마트에서 무심코 고른 그 기름이 어떤 종류인지,어떤 용도로 적합한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생각해본 적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③] 콩기름, 가장 익숙하지만 가장 논란 많은 기름
‘국민 기름’의 명암식용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름, 콩기름. 마트 진열대에서 대용량으로 흔히 볼 수 있고,우리 식탁에 가장 오랫동안 자리한 기름이기도 합니다. 가격도 착하고, 튀김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④] 콩기름 대신 뭘 써야 할까? 카놀라유·해바라기유·포도씨유 비교
콩기름 말고 뭐 없을까?‘건강을 생각해 기름을 바꾸고 싶어요.’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콩기름 대신다른 식물성 기름을 찾는 움직임이 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언급되는 대체 기름은카놀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⑤] 올리브유, 건강한 기름의 대명사일까?
가장 고급스럽고 건강해 보이는 기름, 올리브유올리브유는 건강한 식단의 상징처럼 여겨집니다. 특히 지중해식 식단이 주목받으면서,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는 슈퍼푸드로 자리매김했죠. 하지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⑥] 팜유, 값싼 기름의 두 얼굴
모든 가공식품에 들어 있는 기름마트에서 집어든 과자, 초콜릿, 라면, 냉동식품… 한 번쯤 뒷면 표시를 들여다보면낯익은 단어를 발견하게 됩니다. 바로 "팜유". 너무 흔해서 특별히 신경 쓰지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⑦] 참기름 vs 들기름, 무엇이 더 좋을까?
고소한 향만큼 고민도 깊은 기름 선택비빔밥 위에 한 방울, 나물무침에 한 스푼. 고소한 향으로 입맛을 돋우는 전통기름,참기름과 들기름. 많은 가정에서둘 다 한 병씩은 갖고 있지만,막상 요리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⑧] 어떤 요리에 어떤 기름이 좋을까?
기름 하나에도 요리에 어울리는 ‘성격’이 있다냉장고에 있는 한 병의 기름으로모든 요리를 해결하곤 하지만,사실 요리에 따라 어울리는 기름은 달라야 합니다. 튀김처럼 고온이 필요한 요리,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⑨] 동물성 기름, 아직도 쓰이나요?
식물성 기름 시대, 동물성 기름은 사라졌을까?식물성 기름이 건강과 환경을 앞세워 대세가 된 요즘,동물성 기름은 상대적으로 조명을 덜 받습니다. 버터는 여전히 사랑받지만, 라드(돼지기름),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⑩] 라드와 우지, 잊혀졌지만 여전히 강한 기름
기름 속 전통의 맛기름 하면 식물성 유지가 당연하게 느껴지는 요즘,‘동물성 기름’이라는 말은 왠지낯설고 오래된 이미지처럼 들립니다. 하지만 바로 이 라드(돼지기름)와 우지(소기름)는예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⑪] 마가린, 쇼트닝, 식물성 크림 – 가공된 기름의 명암
가공 유지, 식물성인가 건강한가식물성 기름이 몸에 좋다는 인식은 오랫동안 이어져 왔습니다. 이 흐름에 맞춰 등장한 마가린과 쇼트닝, 식물성 크림 등은‘버터나 라드보다 더 가볍고 건강한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⑫] 향미유, 풍미를 입히는 기름
고소함 이상의 향, 요리를 감싸는 오일파스타 위에 바질 오일 한 방울,샐러드에 트러플 향 가득한 드레싱. 음식의 맛을 한층 끌어올리는이 비밀 병기는 바로 ‘향미유’입니다. 기름 자체로 요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시리즈 ⑬] 당신의 주방에 맞는 기름, 어떻게 고를까?
기름 하나 바꿨을 뿐인데우리는 하루에도 여러 번 기름을 사용합니다. 볶고, 튀기고, 버무리고, 뿌리는그 기름이 어떤 종류인지,우리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깊이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food-father.com
[식용유지류 외전] 트랜스지방, 왜 문제일까?
무조건 0g이면 괜찮은 걸까?트랜스지방이라는 단어는 한때식품업계를 뒤흔든 키워드였습니다. ‘트랜스지방 0g’이라는 문구가 제품 앞면에커다랗게 인쇄되던 시절,소비자들은 무조건 트랜스
food-father.com
'식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류 시리즈②] 전통 vs 개량 – 메주의 모든 것 (58) | 2025.04.23 |
---|---|
[장류 시리즈①] 장의 세계,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44) | 2025.04.23 |
[식용유지류 시리즈 ①] 식용유, 알고 쓰고 계신가요? (64) | 2025.04.22 |
[원산지 표시기준⑥]“국산인가? 수입산인가?” 소비자를 위한 원산지 표시 체크리스트 총정리 (66) | 2025.04.22 |
[원산지 표시기준⑤-2] “가공식품 원산지 표시, 복합원재료와 김치류는 특별하다?” (84)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