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세, 밀키트
1인 가구,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밀키트(Meal Kit)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특히 소불고기, 제육볶음, LA갈비처럼
고기가 주재료인 제품은 꾸준한 인기죠.
그런데 이 밀키트들,
모두 같은 축산물 기준으로 관리될까요?
오늘은 ‘식육간편조리세트’라는 식품유형을 통해
그 기준을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식육간편조리세트의 정의
식육간편조리세트는
식육 또는 식육가공품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채소, 소스 등 다른 식품을 더해
소비자가 집에서 간편히
조리할 수 있게 구성한 제품입니다.
즉, 우리가 흔히 마트나 온라인몰에서
구매하는 고기 중심 밀키트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하죠.
꼭 기억해야 할 육함량 기준
이 식품유형으로 분류되기 위해선
육류가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되어야 합니다.
- 육함량 60% 이상: 일반 식육 사용 시
- 육함량 50% 이상: 분쇄육(다짐육 등) 사용 시
즉, 소고기 불고기 밀키트라면
전체 구성의 절반 이상이 고기여야
‘식육간편조리세트’로 인정받습니다.
이 기준은 축산물 위생법상 중요한 관리 항목입니다.
다른 주요 기준은?
생채소나 과일이 포함된 밀키트의 경우,
살균·세척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또한 조리법 안내가 제품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제품명·원재료·보관방법·유통기한 등 표시사항도
정해진 규정에 따라 아래의
내용들이 기재되어야 합니다.
- 제품명
- 식품유형 (예: 식육간편조리세트)
- 영업소의 명칭 및 소재지
- 소비기한 또는 품질유지기한
- 내용량 및 해당 열량
- 원재료명
- 영양성분표기
- 포장재질
- 품목제조보고번호 (품목보고번호)
- 보관방법 (해당 제품에 필요 시)
- 주의사항 (예: 알레르기 유발물질 등)
- 가열 여부 표시:
‘살균제품’, ‘멸균제품’, ‘비살균제품’ 중 해당 사항 표기
소비자가 꼭 확인할 것
✔ 밀키트에 포함된 고기가 어느 부위인지
✔ 육함량이 몇 %인지
✔ 고기가 생육인지 가공육인지
✔ 채소나 소스가 살균·세척 처리된 것인지
이러한 점들을 확인하면, 단순히 “편한 제품”이
아니라 믿고 먹을 수 있는 제품을 고를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식육간편조리세트는 고기를 중심으로
구성된 밀키트라는 뜻입니다.
축산물 가공품 중에서도 소비자에게
직접 도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안전성, 품질 기준이 특히 중요하죠.
이제 밀키트를 고를 때
라벨을 읽는 눈이 달라지셨을 거예요.
'식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육가공품 시리즈⑥] 식육추출가공품이란? 육수·엑기스·정제분말의 정체와 기준 (18) | 2025.08.06 |
---|---|
[식육가공품 시리즈⑤] 양념육류란? 갈비, 돈가스, 패티의 기준과 분류법 (18) | 2025.08.05 |
[식육가공품 시리즈④] 건조저장육류란? 육포, 말린고기, 반건조육의 차이 제대로 알기 (20) | 2025.08.04 |
[식육가공품 시리즈③] 베이컨, 알고 먹자! 부위·가공법에 따른 차이 총정리 (15) | 2025.08.03 |
[식육가공품 시리즈②] 소시지의 모든 것, 일반·발효·혼합 소시지 (7) | 202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