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식육가공품 시리즈⑦] 식육간편조리세트란? 밀키트 속 고기 기준 바로 알기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8. 7.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반응형

식육간편조리세트란?

요즘 대세, 밀키트

1인 가구,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밀키트(Meal Kit)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특히 소불고기, 제육볶음, LA갈비처럼

고기가 주재료인 제품은 꾸준한 인기죠.


그런데 이 밀키트들,

모두 같은 축산물 기준으로 관리될까요?


오늘은 ‘식육간편조리세트’라는 식품유형을 통해

그 기준을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식육간편조리세트의 정의

식육간편조리세트

식육 또는 식육가공품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채소, 소스 등 다른 식품을 더해

소비자가 집에서 간편히

조리할 수 있게 구성한 제품입니다.

 

즉, 우리가 흔히 마트나 온라인몰에서

구매하는 고기 중심 밀키트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하죠.


꼭 기억해야 할 육함량 기준

이 식품유형으로 분류되기 위해선

육류가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되어야 합니다.

  • 육함량 60% 이상: 일반 식육 사용 시
  • 육함량 50% 이상: 분쇄육(다짐육 등) 사용 시

즉, 소고기 불고기 밀키트라면

전체 구성의 절반 이상이 고기여야

‘식육간편조리세트’로 인정받습니다.


이 기준은 축산물 위생법상 중요한 관리 항목입니다.


다른 주요 기준은?

생채소나 과일이 포함된 밀키트의 경우,

살균·세척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또한 조리법 안내가 제품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제품명·원재료·보관방법·유통기한 등 표시사항

정해진 규정에 따라 아래의

내용들이 기재되어야 합니다.

 

  • 제품명
  • 식품유형 (예: 식육간편조리세트)
  • 영업소의 명칭 및 소재지
  • 소비기한 또는 품질유지기한
  • 내용량 및 해당 열량
  • 원재료명
  • 영양성분표기
  • 포장재질
  • 품목제조보고번호 (품목보고번호)
  • 보관방법 (해당 제품에 필요 시)
  • 주의사항 (예: 알레르기 유발물질 등)
  • 가열 여부 표시:
    ‘살균제품’, ‘멸균제품’, ‘비살균제품’ 중 해당 사항 표기

소비자가 꼭 확인할 것

✔ 밀키트에 포함된 고기가 어느 부위인지
육함량이 몇 %인지
✔ 고기가 생육인지 가공육인지
✔ 채소나 소스가 살균·세척 처리된 것인지

 

이러한 점들을 확인하면, 단순히 “편한 제품”이

아니라 믿고 먹을 수 있는 제품을 고를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식육간편조리세트고기를 중심으로

구성된 밀키트라는 뜻입니다.


축산물 가공품 중에서도 소비자에게

직접 도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안전성, 품질 기준이 특히 중요하죠.


이제 밀키트를 고를 때

라벨을 읽는 눈이 달라지셨을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