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비자정보44

[강조표시 시리즈 ⑤] “덜 짜다더니 짜네?” 나트륨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먹기 한국인은 오랫동안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식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실제로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권장량을 크게 초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 현황우리나라는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나트륨 섭취와 만성질환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섭취 기준을 설정하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량 변화 추이를 보여줍니다. 우리 국민의 1일 평균 나트륨 섭취량(1세 이상, 표준화)은 2022년 3,030 mg으로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그러나 여전히 WHO 권장량과 나트륨 만성질환 위험 감소를 위한 섭취량과 비교해 보면.. 2025. 3. 24.
[강조표시 시리즈 ①] "무첨가"의 함정 - 식품 표시사항 제대로 읽는 법 마트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눈에 띄는 문구 중 하나가 바로 "무첨가"입니다.무방부제, 무색소, 무설탕 등 다양한 표현으로 소비자의 건강한 선택을 유도합니다.하지만 이 "무첨가" 표시가 항상 믿을 만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1. 무첨가 표시, 법적으로 어떻게 규정되어 있을까?소비자가 자주 접하는 첨가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식품첨가물은 다음과 같습니다.보존료: 소르빈산칼륨, 안식향산나트륨 등_부패를 늦추고 유통기한을 연장감미료: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등_설탕 대신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착향료: 합성향료, 천연향료_맛이나 향을 보완착색료: 타르색소, 식용색소 등_색을 선명하게 하여 식욕 유도산화방지제: BHA, BHT 등_산패 방지 및 품질 유지표백.. 2025.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