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비자정보44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⑤-1] 두유류 표시기준, 콩이 많이 들었다는 말의 진실 '콩으로 만든 건강음료', 정말 콩이 많이 들어있을까?'식물성 단백질', '검은콩 함유','든든한 한 끼 두유'… 건강을 생각해 고른 두유,실제로는 콩 함량이 생각보다 적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두유는 대표적인 식물성 음료로알려져 있지만, 제품마다 콩 고형분 함량과 식품유형이 다릅니다. 이번 편에서는 두유 제품을 고를 때꼭 알아야 할 두유류 표시기준과 오해하기 쉬운 문구를 정리해 드릴게요..1. 두유류란?식품공전상 기준식품공전에서는두유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두유류란, 두류 및 두류가공품의 추출물이거나 이에 다른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ㆍ가공한 것으로서, 원액두유 및 가공두유를 말합니다. 두유류는 크게 다음과 같이두 가지로 나뉩니다.원액두유두류로부터 추출한 유액으로, 두류고형분.. 2025. 4. 9.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④-3] 유산균만 들어있으면 발효음료일까? 장 건강을 위해 유산균 음료를 마신다? 그런데 발효음료는 또 뭐지?‘유산균이 들어있어요’, ‘프로바이오틱스 함유’,‘장 건강을 위해 한 병!’ 이런 문구, 많이 보셨죠? 이 제품들은 보통 요구르트처럼마시는 유산균 음료인데요. 그런데 또 한편에는 ‘발효음료’라는 이름으로 따로 분류되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이 둘은 같은 걸까요?아니면 다른 기준을 따르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소비자가자주 혼동하는 ‘유산균 첨가 음료’와 ‘발효음료’의 차이점을식품유형, 표시기준, 기능성 기준을중심으로 확실히 정리해 드립니다.. 건강을 위해 마시는 음료,이제 헷갈리지 마세요.1. 식품유형부터 다르다.'기타음료류' vs '발효음료류'우선 가장 기본이 되는식품유형부터 다릅니다.분류식품유형정의대표 예시유산균 첨가 음료기타음료류유산균.. 2025. 4. 9.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④-2] 발효초 음료(홍초·미초), 건강음료일까 아니면 당음료일까? 미초, 홍초, 과일초… 과연 몸에 좋은 걸까?마트나 편의점 음료 코너를보면 '미초', '홍초', '○○과일초' 같은제품들이 즐비하죠. 제품 앞면에는 '발효초 함유','자연발효', '건강을 생각한' 등의문구가 붙어 있어마치 몸에 좋은 음료처럼 느껴집니다. 그런데 이런 제품들,정말 발효초가 주성분일까요? 실제 건강에 도움이 될 만큼 들어 있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발효초가 첨가된 음료'의식품유형, 표시 기준, 실제 성분을 기준으로건강한 선택을 위한 팁을 알려드립니다.1. 대부분은 '음료베이스' 또는 '기타음료류''홍초'나 '미초'와 같은 제품은대부분 원액 형태의 농축 제품으로,식품공전상 ‘음료베이스’로 분류됩니다. 소비자가 물이나 탄산수에희석해서 마시는 형태죠. 일부는 미리 희석된제품 형태로 출시되며,이.. 2025. 4. 9.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④-1] 발효음료, 진짜 발효되었을까? '발효'라는 말, 정말 건강을 의미할까?‘발효’라는 단어는왠지 건강해 보입니다. 발효음료라고 하면자연스러운 미생물 작용, 장 건강, 소화 기능 향상 같은 이미지가 떠오르죠. 하지만 시중에 출시된 발효음료는정말 다 같은 기준을 따르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식품공전 기준에 따른발효음료류의 정의와 분류, 표시 기준, 대표적인 오해 사례들을 살펴보며,소비자가 진짜 ‘발효된’ 음료를고를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1. 발효음료란?발효음료류는 유가공품 또는 식물성 원료를유산균, 효모, 기타 미생물 등으로발효시켜 가공한 음료로,식품공전 기준에 따라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유산균음료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음료효모음료효모로 발효시킨 음료기타발효음료유산균이나 효모 이외의 미생물(예: 발효균주 등)로 발효시킨 음료이 중 유.. 2025. 4. 8.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③-2] 탄산음료 대신, 탄산수는 괜찮을까? 탄산의 청량감은 좋지만 건강엔 걱정?그렇다면 탄산수는?콜라나 사이다 같은 탄산음료가 시원하고 맛있는 건 사실이죠. 하지만 고당류, 인공감미료, 인산 등건강에 좋지 않은 성분으로 인해 꺼려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건강한 대체 음료'로 탄산수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어요. 그런데 정말, 탄산수는 탄산음료보다 건강한 선택일까요? 건강 음료라고 단정 짓기 전에,성분과 기준을 먼저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1. 탄산수란?식품공전에서는 탄산수를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정제수나 천연수에 이산화탄소(CO₂)를 주입한 음료당류, 향료, 감미료, 색소 등의 첨가물은 일절 들어가지 않음일반적으로 '무열량', '무당', '무첨가물' 제품즉, 탄산수는 본질적으로 물 + 탄산가스로 이루어진 매우 단순한 구조.. 2025. 4. 8.
'저자극·순한' 식품, 누구에게 얼마나 순할까? '순해서 괜찮겠지'라는 착각아이 이유식, 시니어용 식품, 건강 간식 등에서흔히 보이는 문구가 있습니다.바로 '저자극', '순한 맛', '부드러운'같은 표현이죠.이런 문구는 자극적이지 않고,건강에 덜 해롭다는 이미지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어린이, 노약자, 알레르기 체질을 가진 소비자에게 특히 어필합니다.하지만 이 '저자극'이라는 말, 누가, 무엇을 기준으로, 어디까지 저자극이라는 걸까요1. '저자극·순한'이라는 말의 의미와 시장 현황'저자극'이란 말은 보통맵거나 짜지 않으며,알레르기를 유발할 가능성이 적은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줍니다. '순한 맛', '부드러운 맛','민감한 분들을 위한' 등다양한 유사 표현들도 함께 사용됩니다. 이런 문구는 특히 유아식, 고령친화식, 알레르기 대체식, 건강 간편식 시장에서자주 .. 2025.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