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식육가공품 시리즈④] 건조저장육류란? 육포, 말린고기, 반건조육의 차이 제대로 알기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8. 4.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반응형

건조저장육류란?

건조저장육류란?

마트나 편의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육포, 말린 고기 간식들.


이런 제품들이 어떤 기준으로

분류되는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식품위생 기준상 건조저장육류란,

식육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여

조하거나 열처리 후 건조한 가공육을 말합니다.

 

즉, 말려서 오래 보관할 수 있게 만든

고기 제품군이죠.

 

단, 육함량이 85% 이상이어야 하며,

수분함량은 55%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건조저장육류의 대표적인 예

  • 쇠고기 육포
    가장 흔한 제품.
    간장, 설탕, 향신료 등을 넣어
    간을 한 뒤 저온에서 말림
  • 돼지고기 육포
    돼지고기를 얇게 썰어 양념 후 건조
  • 반건조 고기
    수분이 조금 더 남아있어
    촉촉한 식감을 지님
  • 훈연 건조육
    고기 자체를 훈제한 뒤
    건조하여 풍미를 더함

제품마다 맛과 식감, 보관성,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선택 전 성분표와

가공 방식을 꼭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조저장육류, 왜 주목해야 할까?

이 제품군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지방이 적어

건강 간식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저탄수화물·고단백

식단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나트륨이나 보존료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영양성분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건조육 특성상 물성이 단단해

어린이나 노인은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며,

제품에 따라 풍미를 더하기 위해

훈연향 또는 향미증진제가 들어간 경우도 있습니다.

 

저도 육포를 좋아하는 사람 중 하나라

자주 먹게 되는데 치아가 약해

육포 섭취로 인한 치과 방문이 잦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너무 딱딱하지만은 않은

촉촉한 형태의 반건조 제품이 있어

치아가 약한 저도 충분히

즐길 수 있습니다.


건조저장육류의 표시기준 요약

  • 육함량: 85% 이상
  • 수분함량: 55% 이하
  • 보존료: 소브산, 소브산칼륨, 소브산칼슘 이외 사용 불가
  • 색소: 타르색소 검출 불가
  • 미생물 기준: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불검출 / 세균수 엄격히 제한

마무리 정리

✔ 고단백 저지방 간식을 원한다면
    육포류가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 구매 시 수분함량, 원재료, 보존료
    및 향미제
등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단단한 식감이 부담된다면 반건조 형태의

    제품을 선택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