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품정보155

[강조표시 시리즈 ④] 저당 표시, 진짜 당이 적을까? 기준부터 오해까지 총정리 마트나 편의점에서'저당', 'Low Sugar', '당을 줄였어요'같은 문구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달지 않으니 건강에 좋을 것 같고,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될 것 같죠.그런데 과연 이 '저당' 표시,어디까지 믿어도 될까요?이번 글에서는식약처가 제시한 저당 기준과 함께,저당 제품을 고를 때꼭 확인해야 할 포인트를정리해 드립니다.1. ‘저당’ 표시, 정말 믿어도 될까?소비자가 일반적으로 '저당'이라고 들었을 때 기대하는 건 '당류가 아주 적다'는 뜻입니다.하지만 실제로는 단맛이 조금 줄어들었거나, 기존 제품보다 당류가 덜 들어간 정도일 수 있어요. '저당'은 마케팅 문구가 아니라, 식약처의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즉, 법적 근거가 있는 강조 문구입니다. .. 2025. 3. 23.
[강조표시 시리즈 ③] 무가당 vs 무설탕 vs 제로슈가 – 같은 말일까, 다른 말일까? 마트에서 음료나 간식을 고르다 보면'무가당', '무설탕', '제로슈가'라는 문구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모두 당이 없다는 의미일까요? 아니면 각각 다른 기준과 의미가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헷갈리기 쉬운 당류 관련 강조 표시 문구를 하나하나 짚어보며,소비자가 제대로 이해하고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1. 무가당 vs 무설탕 – 같은 표현일까?예전에는 '무가당'과 '무설탕'이 각각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지만,현재 식약처 표시기준 해석에 따르면 두 표현 모두'당류 무첨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무가당 : 설탕을 포함한 당류 원료(시럽, 꿀, 농축과즙 등)를 첨가하지 않음무설탕 : 과거엔 설탕만 제외한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모든 당류를 포함하지 않아야 사용 가능 합니다.👉 실질적으.. 2025. 3. 23.
[강조표시 시리즈 ②] "저", "고" 함량표시는 믿을 수 있을까? 마트에서 식품을 고르다 보면 '저당', '저지방', '고칼슘' 같은 문구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이 표현들은 과연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식약처 고시인「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명시된'저', '함유 또는 급원', '고 또는 풍부' 표시 기준을 중심으로 소비자가 오해하기 쉬운 마케팅 문구까지 정리해 드립니다.1. "저" 표시 기준소비자의 건강을 생각한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확보하기 위해 "저지방", "저나트륨", "저당"과 같은 표시를 전면에 내세운 제품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요.이러한 표시는 단순히 함량을 줄였다고 표시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르면 특정 영양성분이 아래 기준을 만족할 경우 "저○○", "덜.. 2025. 3. 22.
[강조표시 시리즈 ①] "무첨가"의 함정 - 식품 표시사항 제대로 읽는 법 마트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눈에 띄는 문구 중 하나가 바로 "무첨가"입니다.무방부제, 무색소, 무설탕 등 다양한 표현으로 소비자의 건강한 선택을 유도합니다.하지만 이 "무첨가" 표시가 항상 믿을 만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1. 무첨가 표시, 법적으로 어떻게 규정되어 있을까?소비자가 자주 접하는 첨가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식품첨가물은 다음과 같습니다.보존료: 소르빈산칼륨, 안식향산나트륨 등_부패를 늦추고 유통기한을 연장감미료: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등_설탕 대신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착향료: 합성향료, 천연향료_맛이나 향을 보완착색료: 타르색소, 식용색소 등_색을 선명하게 하여 식욕 유도산화방지제: BHA, BHT 등_산패 방지 및 품질 유지표백.. 2025. 3. 21.
식품 표시사항, 이것만은 꼭 알고 구매하자! 마트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포장 전후면의 다양한 표시사항을 보면서도,정확히 어떤 정보인지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주요 식품 표시사항을 정확히 이해하고 현명하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주표시면_간략하지만 중요한 정보식품의 주표시면은 소비자가 가장 먼저 보게 되는 면입니다.법적으로 제품명, 내용량(내용량에 해당하는 열량)을 표시하게 되어있습니다.주로 브랜드, 주요 원재료 함량, 강조 문구, 소비기한 또는 제조일자 등이 포함됩니다.제품명: 제품을 나타내는 고유의 명칭으로, 성분이나 맛, 원재료 등을 간략하게 표현한 경우도 있습니다.내용량(내용량에 해당하는 열량): 제품 전면에는 내용량과 함께 칼로리가 함께 표기되어 있어 빠르게 제품의 영양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주요 원재료 함량.. 2025.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