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품표시기준39

[총중량은 많은데, 건더기는 왜 없을까] 괄호 숫자의 정체 🥄 총중량 85g? 고기 45g? 괄호 속 숫자가 말해주는 것식품 포장지를 보다 보면 ‘총중량 120g(건더기 20g)’, ‘총 150g(고기 60g)’처럼 괄호 안에 들어간 숫자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단순한 보충 설명 같지만, 실제로는 제품 구성과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 정보일 수 있습니다.총 내용량만 확인하고 구매했다가 ‘건더기 거의 없네?’, ‘소스만 가득하네?’ 하고 실망하신 적 있나요? 이런 실망은 바로 괄호 속 숫자를 간과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총중량’과 괄호 안 ‘성분량’의 차이를 통해, 소비자가 진짜 주목해야 할 표시 정보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 숫자를 어떻게 해석해야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봅니다.1. 괄호 안에 숨겨진 정보, 소비자에게.. 2025. 5. 19.
[양은 줄고 가격은 그대로?] 슈링크플레이션 숫자 읽는 법 📉 무심코 지나친 20g, 소비자는 눈치챘을까?마트에서 늘 사던 과자가 어느 날 똑같은 가격인데 양이 줄어든 걸 눈치챈 적 있으신가요? 포장지 모양도 그대로, 디자인도 동일하지만 내용량이 20~30g 줄어든 제품이 요즘 부쩍 늘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입니다.가격은 그대로지만 중량이나 개수가 줄어드는 소비자 기만 전략으로, 최근 몇 년 사이 식품업계 전반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변화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단지 양이 줄었다는 사실이 아니라, 그 숫자가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표시되어 있다는 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식품 포장지에서 어디서, 어떻게 숫자가 줄어들고 숨겨지는지, 그리고 이를 소비자가 스스로 감지하고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짚어보.. 2025. 5. 18.
[‘총내용량’ vs ‘낱개표시’] 소비자는 왜 헷갈릴까? 📐 ‘총 내용량’과 ‘내용량(g)’, 같은 숫자지만 해석은 다르다?마트나 편의점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총 내용량 200g(20g × 10개)’처럼 적힌 포장지를 본 적이 있으신가요? 숫자는 분명해 보이지만, 실제 구성이나 섭취량을 오해하게 만드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총 내용량, 개별 중량, 낱개 수량은 같아 보여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정보는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총 내용량’과 ‘내용량(g)’이라는 용어의 차이를 중심으로, 포장지에 숨겨진 정보 구조와 소비자가 놓치기 쉬운 포인트들을 짚어봅니다. 온라인 쇼핑, 간편식, 개별포장 제품처럼 정보가 더욱 모호해지는 환경 속에서 표기 숫자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숫자의 진짜 의미를 함께 풀어보겠습니다.1. 총 내용량과 낱개량, 같은 .. 2025. 5. 17.
[100g당, 1회 제공량당 영양성분?] 무엇을 기준으로 봐야 할까 👁‍🗨 ‘100g당’과 ‘1회 제공량’, 어떻게 다른가요?식품 포장지를 보다 보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바로 열량과 나트륨, 당류 등 영양성분입니다. 그런데 어떤 제품은 ‘100g당’, 어떤 제품은 ‘1회 제공량당’ 기준으로 표시되어 있어 헷갈리신 적 없으셨나요? 같은 나트륨 400mg이라도, 100g당인지, 1회 제공량 기준인지에 따라 실제 섭취량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식품 포장지 속 ‘단위 기준’에 주목해봅니다. ‘1회 제공량’은 무엇을 기준으로 삼는지, ‘100g당’은 비교용으로 왜 사용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계산해서 나에게 맞는 섭취량을 가늠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영양정보 숫자를 제대로 해석하려면, 숫자 그 자체보다 그 숫자가 뭘 기.. 2025. 5. 13.
[이 식품, 왜 영양정보가 없지?] 영양표시 의무대상과 예외 규정 👀 식품 포장지 속 숫자, 제대로 읽고 계신가요?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식품 포장지에는 다양한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100g당’, ‘1회 제공량’, ‘열량 75kcal’, ‘DHA 300mg’, ‘총중량 85g(고기 45g)’, ‘0.01% 함량’, ‘소비기한 2025.01.01’… 숫자는 분명 정확한 정보 같지만, 그 숫자가 어떤 기준에서 왔는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이 숫자들은 때로는 소비자의 합리적 판단을 돕지만, 때로는 마케팅 수단으로 소비자의 착각을 유도하기도 합니다. 포장지 앞면에는 강조된 수치만 보이고, 뒷면을 자세히 들여다봐야 진짜 의미가 드러나는 경우도 많죠.‘식품 포장지 내 숫자 해석 시리즈’는 바로 이 숫자의 숨은 의미를 해석하고, 소비자가 똑똑하.. 2025. 5. 12.
[식용유지류 외전] 트랜스지방, 왜 문제일까? 무조건 0g이면 괜찮은 걸까?트랜스지방이라는 단어는 한때식품업계를 뒤흔든 키워드였습니다. ‘트랜스지방 0g’이라는 문구가 제품 앞면에커다랗게 인쇄되던 시절,소비자들은 무조건 트랜스지방이없어야 안전하다고 믿었죠. 하지만 0g 표시에도 불구하고 트랜스지방이‘완전히 없는 것’은 아닐 수 있습니다. 이번 외전에서는 트랜스지방이 무엇이고,왜 문제가 되었는지, 현재 규제 기준은 어떤지,소비자는 무엇을 주의해야 하는지를 정리해드립니다.1. 트랜스지방이란?트랜스지방은 지방산의 이중결합 구조가‘트랜스(Trans)’ 형태로 배열된 지방을 말합니다. 불포화지방산을 인위적으로 고체화하기 위해수소를 첨가하는 공정(부분경화과정)에서 주로 생성되며,마가린, 쇼트닝, 냉동 베이커리, 튀김유 등다양한 가공식품에 쓰여 왔습니다. 자연적.. 2025.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