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품표시기준39

식품일까 아닐까? 박카스를 통해 본 '경계'의 이야기 박카스, 에너지드링크? 약? 식품?피곤할 때 흔히 찾게 되는 '박카스'. 약국에서는 '박카스 D',편의점에서는 '박카스 F'를 쉽게 볼 수 있죠.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식품이 아닌 의약품과 의약외품으로분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큽니다. 이번 글에서는 박카스를 중심으로 식품과 의약품의 경계에 대해 알아봅니다.1. 박카스 D, F는 어떤 제품인가요?💭 왜 따로 유통할까? 약국용 D vs 편의점용 F동아제약이 박카스를 D와 F로 나누어 유통하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제품 분류 차이박카스 D는 일반의약품→ 약국에서만 판매 가능박카스 F는 의약외품→ 일반 유통(편의점, 마트 등) 허용성분 차이로 인한 효능 구분D는 타우린 함량이 높고'피로회복' 효과에 더 집중F는 카르니틴 성분을 추가.. 2025. 4. 14.
'케토(Keto)' 식품, 정말 저탄고지일까? 케토 식단 열풍, 제품에도 '케토'가 붙는다최근 몇 년 사이'저탄고지(저탄수화물·고지방)' 식단이인기를 끌면서, 식품 시장에서도 '케토(Keto)','케토 프렌들리(Keto Friendly)'라는문구가 자주 등장합니다.간편식, 간식, 커피, 빵, 심지어 라면까지도'케토' 제품으로 출시되며소비자의 눈길을 끌고 있죠.그런데 '케토'라는 말,식약처나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이 있을까요?1. '케토'란 무엇인가?'케토'는 '케톤생성 식이(Ketogenic diet)'의 줄임말로,탄수화물 섭취를 극단적으로 줄이고,지방 위주로 에너지를 공급해,우리 몸이 포도당 대신 케톤체(Ketone body)를 에너지원으로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식이법입니다.원래는 간질환자나 신경계 질환 치료 목적으로 의학적으로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 2025. 4. 6.
'프리미엄' 식품, 진짜 더 좋은 걸까? "프리미엄이라는 말에 끌리는 이유"'프리미엄 김', '명품 장류', '고급 원료 사용' 등우리는 마트와 온라인몰에서 수없이 많은'프리미엄' 식품을 접하게 됩니다.마치 한 단계 더 높은 품질과 가치를제공한다는 듯한 인상을 주죠.하지만 과연 '프리미엄'이라는 말은실제 품질을 보장해 주는 법적 기준이 있을까요?아니면 단순히 마케팅 용어일 뿐일까요? 1. '프리미엄'의 의미와 소비자 인식'프리미엄(premium)'은 일반적으로기준보다 우수한 품질이나 기능, 고급 원료 사용 등을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외에도 '명품', '고급', '스페셜', '럭셔리' 같은 유사 표현이 다양하게 쓰이고 있죠. 소비자는 이런 표현이 붙은 제품을 볼 때품질이 더 좋다더 건강하거나 안전하다원료가 더 좋고 정성이들어갔다고 느끼는 경향이 .. 2025. 4. 6.
'청정지역 원료'라면 정말 더 깨끗할까? '청정지역'이 주는 깨끗한 이미지“청정지역에서 자란 ○○ 사용”,“청정수역 원산지”, “맑고 깨끗한 산지에서 온 ○○○”이런 문구는 식품뿐 아니라 생수,축산물, 수산물 등에서매우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소비자들은 이를 보고"이 제품은 오염되지 않았겠다","신선하고 안심할 수 있겠다"는 인식을 하게 되죠.하지만 '청정지역'이라는 말,과연 공식적으로 인증된 것일까요?1. '청정지역 원료'란 무엇인가?'청정지역'이라는 표현은공기, 물, 토양 등 환경이 깨끗하다고 알려진 지역에서생산된 원료라는 이미지를 줍니다. 자연주의, 친환경 소비 트렌드와맞물려 이 표현은 식품 라벨뿐 아니라 광고, 상세페이지, 쇼핑몰 키워드에서도 매우 빈번히 사용됩니다. 특히 지역 이름과 결합한 경우,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2025. 4. 6.
가공유(바나나맛 우유, 초코 우유), 정말 건강에 괜찮을까?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쉽게 볼 수 있는바나나맛 우유, 초코우유 같은가공유는 달콤한 맛으로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인기입니다.하지만 이 제품들, 정말 건강에 괜찮을까요?오늘은 가공유의 진실을 함께 살펴봅니다.1. 가공유란 정확히 무엇일까요?가공유는 원유에 다양한 성분(설탕, 인공향료, 색소 등)을 첨가하여 맛과 향을 더한 우유입니다. 대표적으로 바나나맛 우유, 초코우유, 딸기우유 등이 있으며, 주로 간식이나 간편한 아침 대용식으로 소비됩니다. 일반 우유보다 맛이 좋아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지만, 실제로는 여러 첨가물이 포함되어 있어 건강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한 제품입니다.2. 가공유, 어떤 성분이 들어있을까?가공유는 주로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포함합니다. 설탕 및 당류맛을 내기 위해 다량의 설탕이.. 2025. 4. 5.
우유에도 등급이 있다? 우유 등급의 모든 것! 우유를 구매할 때 '특등급', '1등급', 그리고 최근엔 'A2플러스 등급' 같은 표시를 본 적 있으시죠? 우유에도 등급이 있다는 사실, 생각보다 많은 소비자가 정확히 모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우유 등급이 무엇인지, 어떻게 매겨지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우유의 등급, 무엇을 기준으로 나눌까요?우유의 등급은 원유의 품질과위생 상태를 평가하여 구분합니다. 주로 세균 수와 체세포 수,그리고 원유에 포함된고형분(지방, 단백질 등)의 비율을 기준으로 합니다. 특등급 우유세균 수가 1㎖당 3만 마리 이하, 체세포 수가 1㎖당 20만 개 이하로 가장 위생적이고 신선합니다.1등급 우유세균 수가 1㎖당 10만 마리 이하체세포 수는 1㎖당 30만 개 이하입니다.2등급 우유세균 수가 1㎖당 30만 마리 이.. 2025.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