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품표시기준39

[에너지음료 속 카페인·타우린 1편] 기능부터 섭취기준·부작용까지 한눈에 보기 에너지음료는 공부, 운동, 야근할 때 자주 찾게 되죠.☕하지만 카페인과 타우린이 얼마나 들어 있는지, 얼마나 마셔도 괜찮은지 알고 드시나요?에너지음료 속 카페인과 타우린의 기능, 섭취 현황, 제품별 함량, 표시 기준, 그리고 주의해야 할 부작용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청소년 카페인 과다 섭취 이슈도 함께 짚어보며,건강한 선택을 위한 소비자 체크리스트도 함께 준비했어요!1. 에너지음료, 왜 이렇게 인기일까?시장 규모 : 2022년 국내 에너지음료 매출액은 1,575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18% 증가하였습니다.2020년과 비교하면 2년 만에 52% 성장한 수치입니다.소비층 : 에너지음료 소비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남성층에서 높게 나타납니다.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하이볼 주류 문화의 인기와.. 2025. 3. 27.
제품명에 원재료명이 들어가면? 딸기맛·딸기향 표시기준 정리해드립니다 "제품명에 원재료명이 들어가 있다면, 정말 그 성분이 들어가야 할까요?"‘딸기맛 캔디’, ‘딸기향 캔디’, ‘딸기캔디’🍓다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 딸기가 들어있는지 여부는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특히 ‘○○맛’은 표시기준상 명확한 규정 없이 널리 쓰이는 반면,‘○○향’은 법적 표시 의무가 분명합니다.이 글에서는 제품명에 숨겨진 의미 차이와소비자에게 꼭 필요한 확인 포인트를 정리해 드립니다.🍬 제품명에 원재료명이 들어갔을 때, 표시기준은?제품 이름만 보고 "아, 이거 딸기 들어있겠네!"라고 생각하신 적 있으신가요?마트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달콤한 캔디.그런데 포장지를 보면 이런 제품명이 있습니다:딸기맛 캔디딸기향 캔디딸기캔디같은 '딸기' 단어가 들어가도 표시 기준이 전혀 다른 이유,바로 제품명에 원재료.. 2025. 3. 27.
[강조표시 시리즈 ⑨-2] 비타민 표시기준 (2편): 법적 기준부터 소비자 체크리스트까지! 식품에 붙은 “비타민 풍부”, “비타민C 함유”라는 문구,정말 믿어도 될까요?이 글에서는 식품 표시기준에 따른 강조 문구의 법적 기준과소비자가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현명한 선택을 위한 팁, 지금 확인해 보세요! 🔍1. 📋 법적 표시 기준 (💡기준 단위별 포함량이 다름)소비자가 자주 보는 “비타민 ○○ 함유”, “비타민 풍부” 같은 문구는식약처의 「식품 등의 표시기준」 고시에 따라비타민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되어야 사용할 수 있어요.그런데 중요한 건,적용 기준 단위(100g, 100mL, 100kcal, 1회 제공량)에 따라이 ‘기준 비율’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 적용 기준 단위별 강조표시 기준적용 단위‘함유’ 또는 ‘급원’ 기준‘고’ 또는 ‘풍부’ .. 2025. 3. 26.
[강조표시 시리즈 ⑦] 단백질 바, 진짜 고단백일까? 영양표시 기준 확인법 헬스 아니어도 단백질!이젠 단백질이 ‘근육’보다 ‘건강’과 직결되는 키워드가 됐습니다.마트, 편의점만 가도“고단백! 단백질 풍부! 단백질 바!”라는!” 문구들이 넘쳐나죠.그런데… 정말 다 ‘고단백’일까요?이번 글에서는‘단백질 강조 표시 기준’을 제대로 알려드릴게요. 1. 단백질 시장, 얼마나 성장했을까?단백질은 이젠 운동선수 전유물이 아니에요.다이어트, 당 관리, 건강 간식등 다양한 수요로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어요. 식약처 2023 식품 소비 트렌드에 따르면,영양강조 표시 식품 중 단백질 제품 비율은 11.6%,3위를 차지했어요! 단백질 바, 요구르트, 음료, 시리얼 등먹기 편하고 간편한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어요. 실제 국내 성인 1일 단백질 섭취량은 평균 73g입니다.남성 84.1g, 여성 6.. 2025. 3. 25.
[강조표시 시리즈 ⑥] 저지방? 무지방? 지방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드시나요? 최근 다이어트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지방', '무지방', '지방을 줄였어요' 같은 문구가 붙은 식품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표시들,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드시나요?이번 글에서는 지방 섭취의 현실, 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방 관련 표시 기준과 허용 오차까지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1. 한국인의 지방 섭취 현황2023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성인 남성의 하루 평균 지방 섭취량은 62.2g ,여성은 47.6g이었고,지방과잉섭취자 비율은 2022년 5.9%에서 2023년 7.6%로 전년 대비 1.5% p 증가했습니다.WHO 권장 범위(총 열량의 15~30%) 안에는 있지만,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의 과잉 섭취 위험은 여전히 존재합니다.2. 지방 섭취가 건강에 끼치는 영향지방은 에.. 2025. 3. 24.
[강조표시 시리즈 ⑤] “덜 짜다더니 짜네?” 나트륨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먹기 한국인은 오랫동안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식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실제로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권장량을 크게 초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 현황우리나라는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나트륨 섭취와 만성질환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섭취 기준을 설정하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량 변화 추이를 보여줍니다. 우리 국민의 1일 평균 나트륨 섭취량(1세 이상, 표준화)은 2022년 3,030 mg으로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그러나 여전히 WHO 권장량과 나트륨 만성질환 위험 감소를 위한 섭취량과 비교해 보면.. 2025.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