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음료 속 카페인·타우린 1편] 기능부터 섭취기준·부작용까지 한눈에 보기
에너지음료는 공부, 운동, 야근할 때 자주 찾게 되죠.☕하지만 카페인과 타우린이 얼마나 들어 있는지, 얼마나 마셔도 괜찮은지 알고 드시나요?에너지음료 속 카페인과 타우린의 기능, 섭취 현황, 제품별 함량, 표시 기준, 그리고 주의해야 할 부작용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청소년 카페인 과다 섭취 이슈도 함께 짚어보며,건강한 선택을 위한 소비자 체크리스트도 함께 준비했어요!1. 에너지음료, 왜 이렇게 인기일까?시장 규모 : 2022년 국내 에너지음료 매출액은 1,575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18% 증가하였습니다.2020년과 비교하면 2년 만에 52% 성장한 수치입니다.소비층 : 에너지음료 소비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남성층에서 높게 나타납니다.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하이볼 주류 문화의 인기와..
2025. 3. 27.
[강조표시 시리즈 ⑦] 단백질 바, 진짜 고단백일까? 영양표시 기준 확인법
헬스 아니어도 단백질!이젠 단백질이 ‘근육’보다 ‘건강’과 직결되는 키워드가 됐습니다.마트, 편의점만 가도“고단백! 단백질 풍부! 단백질 바!”라는!” 문구들이 넘쳐나죠.그런데… 정말 다 ‘고단백’일까요?이번 글에서는‘단백질 강조 표시 기준’을 제대로 알려드릴게요. 1. 단백질 시장, 얼마나 성장했을까?단백질은 이젠 운동선수 전유물이 아니에요.다이어트, 당 관리, 건강 간식등 다양한 수요로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어요. 식약처 2023 식품 소비 트렌드에 따르면,영양강조 표시 식품 중 단백질 제품 비율은 11.6%,3위를 차지했어요! 단백질 바, 요구르트, 음료, 시리얼 등먹기 편하고 간편한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어요. 실제 국내 성인 1일 단백질 섭취량은 평균 73g입니다.남성 84.1g, 여성 6..
2025. 3. 25.
[강조표시 시리즈 ⑥] 저지방? 무지방? 지방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드시나요?
최근 다이어트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지방', '무지방', '지방을 줄였어요' 같은 문구가 붙은 식품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표시들,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드시나요?이번 글에서는 지방 섭취의 현실, 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방 관련 표시 기준과 허용 오차까지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1. 한국인의 지방 섭취 현황2023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성인 남성의 하루 평균 지방 섭취량은 62.2g ,여성은 47.6g이었고,지방과잉섭취자 비율은 2022년 5.9%에서 2023년 7.6%로 전년 대비 1.5% p 증가했습니다.WHO 권장 범위(총 열량의 15~30%) 안에는 있지만,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의 과잉 섭취 위험은 여전히 존재합니다.2. 지방 섭취가 건강에 끼치는 영향지방은 에..
2025.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