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유지류 시리즈 ⑤] 올리브유, 건강한 기름의 대명사일까?
가장 고급스럽고 건강해 보이는 기름, 올리브유올리브유는 건강한 식단의 상징처럼 여겨집니다. 특히 지중해식 식단이 주목받으면서,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는 슈퍼푸드로 자리매김했죠. 하지만 시중에 나와 있는다양한 '올리브유' 제품을 보면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버진? 정제?피자에 뿌리는 건 뭐고,튀김에 써도 될까?" 이번 글에서는 올리브유의 종류, 성분, 건강 이점, 요리 활용 팁까지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1. 올리브유의 유래와 기본 정보올리브유는 올리브 나무의 과실에서 짜낸 기름입니다. 인류가 가장 오래 사용해온 기름 중 하나로,고대 로마와 그리스 시절부터의약과 요리에 모두 쓰였고,지금도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가세계 3대 생산국으로 꼽힙니다. 유럽에서는 PDO(원산지 보호) 제도를 통해품질을 철저히 관리하..
2025. 4. 25.
[식용유지류 시리즈 ③] 콩기름, 가장 익숙하지만 가장 논란 많은 기름
‘국민 기름’의 명암식용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름, 콩기름. 마트 진열대에서 대용량으로 흔히 볼 수 있고,우리 식탁에 가장 오랫동안 자리한 기름이기도 합니다. 가격도 착하고, 튀김부터 부침, 볶음까지 활용도도 높죠. 하지만 최근에는 콩기름에 대해 이런저런 말들이 들려옵니다.'오메가-6가 많아 염증을 유발한다', 'GMO 콩이 사용된다','정제 과정이 건강에 좋지 않다' 등 여러 우려도 존재하죠. 이번 글에서는 콩기름의 탄생 배경부터 특징, 논란,그리고 제대로 고르는 방법까지 정리해드릴게요.1. 콩기름의 탄생과 보급콩기름은 20세기 초 미국에서 산업화되기 시작해,1950년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본격적인 대량생산이 이뤄졌습니다. 한국에서는 1970~80년대 경제성장과 함께식용유 수요가 급증하면서,가격 ..
2025. 4. 24.
[장류 시리즈③] 한식간장, 양조간장, 산분해간장의 차이점은?
한국인의 밥상에 빠질 수 없는 조미료, 간장. 간단히 짜고 감칠맛 나는 검은 액체로 여겨질 수 있지만,실제로 간장은 제조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그 맛과 성분, 영양, 심지어 안전성까지 달라집니다. 마트에서 마주치는 간장만 해도'한식간장', '양조간장', '산분해간장', '혼합간장' 등다양한 이름으로 판매되며,각각의 기준과 특징을 알지 못하면구매 시 혼란을 겪기 쉽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간장의 정체를 파헤쳐 보겠습니다.1. 한식간장전통 장류의 대표한식간장은 메주를 주원료로 하여식염수와 함께 장기간 발효·숙성시킨 후여액만을 걸러내 만든 간장입니다. 된장과 함께 장독대에서 발효되는 방식이며,'국간장'이라고도 불리죠. 맛은 짜고 색은 옅으며, 국물요리에 주로 쓰입니다. 전통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단백질 ..
2025. 4. 23.
[장류 시리즈①] 장의 세계,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한국 식문화의 뿌리를 이야기할 때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장(醬)입니다. 간장, 된장, 고추장은그 자체로도 하나의 음식이지만,수많은 요리의 맛을 완성시키는핵심 재료로 자리 잡고 있죠. 국, 찌개, 나물, 조림, 구이까지,장이 빠진 한국 음식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그만큼 장류는 단순한 양념이 아닌'맛의 근간'이자, 세대를 넘어 전해 내려오는문화 그 자체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토록 중요한장류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요?1. 장류는 왜 중요한가요?장이라고 하면 흔히간장, 된장, 고추장을 떠올리지만,사실 장류에는 훨씬 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한식간장과 양조간장의 차이,산분해간장은 또 뭘 의미하는지, 고추장은 어떤 원료를 얼마나 넣어야고추장이라 불릴 수 있는지, 된장과 혼합장의 경계는 어떻게 구분되..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