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8

[원산지 표시기준③] “온라인 판매는 예외일까?” 통신판매 시 원산지 표시, 꼭 필요할까? 클릭 한 번으로 장보는 시대, 원산지도 함께 보이나요?요즘 식재료는 마트보다온라인 쇼핑으로 더 자주 구매하게 되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배달앱, 소셜커머스, 심지어 SNS DM까지…이처럼 편리한 온라인 쇼핑은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식품 소비 시장도 그 안에서급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품 설명에는 ‘국산 고사리’라더니,막상 결제창에는 원산지가 없거나,배송된 제품에 적힌 건 중국산이었다면? “온라인은 원산지 표시 예외 아냐?”라는 오해, 이제는 그만!이번 글에서는 통신판매 시원산지 표시 의무와 위반 사례, 소비자 체크포인트까지 쏙쏙 알려드립니다.1. 통신판매에서도 원산지 표시 ‘의무’입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표시 요령」 제4조 및 부칙에 따르면,인터넷, 모바일, 전화 등 비대면 판매도 원산지 표시가 .. 2025. 4. 20.
[원산지 표시기준②] 국산의 기준은 어디까지?, 원산지 전환 기준! 농산물부터 고기까지, 원산지 헷갈리는 순간들마트에서 "국산 도라지", "국산 인삼"을 봤는데어딘가 익숙치 않은 느낌... 알고 보니 중국에서 이식한 뒤국내에서 재배한 것이라면? 또 어떤 돼지고기는 '국산'으로 표기돼 있는데,사실은 외국에서 들여온 새끼돼지를국내에서 몇 달 사육한 것이었다면? 원산지 표시는 단순히 어디서팔았는지가 아니라, 어디서 길러졌고,자랐으며, 어떤 생산 과정을 거쳤는지를따지는 복합적인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비자들이가장 많이 헷갈리는‘원산지 전환 기준’을 짚어보겠습니다.1. '국산'의 기준은 어디까지? 원산지 전환의 3가지 원칙농산물종자부터 국내 생산한 경우만 국산중국에서 들여온 인삼을 국내 토양에 심어 키운 경우, 그 뿌리가 이미 중국산이기 때문에 → ‘중국산’으로 표시반면, .. 2025. 4. 20.
[원산지 표시기준①] “국산일까, 수입일까?” 헷갈리는 원산지 표시, 제대로 알고 있나요? "국산", "국내산", "00산"…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마트에서 장을 볼 때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바로 원산지입니다. “국산 김치”, “충북 보은 고사리”,“00농장 계란”… 다들 익숙한 표시죠. 하지만 소비자들은 ‘정확히 어떤 기준으로 원산지를 붙이는지’ 알고 있을까요? 특히 고사리(치악산)처럼지명은 맞지만 행정구역이 아닌 경우,실제로는 허위 표시가 될 수 있다는 사실! 이 글에서는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식품 속 ‘원산지 표시제도’의 기본과헷갈리기 쉬운 오해들을 정리해드립니다.1. ‘국산’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원산지 표시의 정의와 시장 현황원산지 표시란, 식품이나 농산물이어디에서 생산되었는지 소비자에게알리는 표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국산 농산물 222품목,수입 및 반입품 161품목,국내 제조·가.. 2025. 4. 20.
과일잼 고르는 법, 이것만 보면 끝! 아침 식탁 위의 단골손님, 과일잼마켓에서 자주 마주치는제품 중 하나가 바로 잼류입니다. 딸기잼, 포도잼, 블루베리잼 등종류도 다양한데요. 제품마다 '잼', '기타잼' 등다르게 표기되어 있어헷갈린 적 없으셨나요? 겉보기에 비슷하지만,사실 이 표기엔 중요한 기준이숨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식품등의 표시기준에따라 과일잼을 고를 때꼭 알아야 할 표시 정보를 정리해 드릴게요.1. "잼"과 "기타잼"의 차이, 알고 계셨나요?식품공전상 잼류의 정의잼류는 과일류, 채소류, 유가공품 등을당류와 함께 젤리화 또는시럽화한 제품을 말합니다. 식품유형상 잼과 기타잼으로 구분됩니다.잼과일류 또는 채소류가 생물 기준 30% 이상들어 있어야 하며, 젤리화된 제품입니다. 대표적으로 딸기잼, 블루베리잼이 이에 해당합니다.기타잼과일,.. 2025. 4. 19.
[생수 시리즈 마지막편] 생수에 대해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맑고 투명한 물, 그 안의 복잡한 진실들병에 담긴 투명한 생수를우리는 너무도 당연하게 소비해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시리즈를 통해생수의 종류, 수질, 포장 방식, 환경적 영향까지살펴보면서 ‘물’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소비에도많은 정보와 선택이 필요하다는 걸다시 깨닫게 되었죠. '깨끗해 보이는 생수'를 고르기까지,소비자가 알아야 할 사실들을 정리하며 시리즈를 마무리합니다.1. 생수, 그 안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생수’라고 불리는 물은 사실그 속성을 기준으로‘먹는샘물’, ‘혼합음료’, ‘정제수’, ‘정수기물’, ‘수돗물’ 등으로 나뉘며,법적 관리 주체와 수질 기준이 각기 다릅니다. 먹는샘물은 수원지에서 병입까지전 과정을 규제받는 반면,정수기물은 소비자 스스로 관리해야 하는 물입니다. 혼합음료로 표기된 일부 제품.. 2025. 4. 19.
[생수 시리즈⑧] 먹는샘물·정수기·수돗물, 뭐가 나을까? 어떤 물이 진짜 ‘좋은 물’일까?생수 하나를 고르려 해도 선택지는 많습니다. 편의점 생수, 가정용 정수기, 그냥 수돗물까지. 모두 음용 가능한 물이지만, 맛이나 안전성, 가격, 환경 영향을 따져보면그 차이는 결코 작지 않습니다. 특히 아기에게 물을 줄 때, 환경을 생각할 때,건강을 염두에 둘 때 ‘어떤 물을 마셔야 할까?’는결코 단순한 질문이 아닙니다. 오늘은 우리가 매일 마시는 세 가지 물,먹는샘물(생수) vs 정수기물 vs 수돗물을수질 기준, 경제성, 환경성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리해보려 합니다. 진짜 나에게 맞는 물은 어떤 것인지 직접 비교해 보세요..1. 먼저, 정의부터 확실히!구분정의관리 주체먹는샘물천연 지하수를 취수해 여과·살균 후 병입한 생수환경부·식약처 (먹는물관리법)정수기물수돗물 또는 지.. 2025.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