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품정보155

[숙취해소제 시리즈①] 약도 아닌데 효과 있다고? 일반식품 표시기준의 진실 편의점이나 온라인몰에서 자주 보이는 "숙취해소" 제품들, 포장에는 "기능성 표시 일반식품"이라 적혀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선 이게 건강기능식품인지, 의약품인지, 단순 음료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죠. 특히 2025년부터는 숙취해소 표시 기준이 강화되면서 시장에 큰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1. 숙취해소제, 어디에 속할까? 일반식품에도 가능?숙취해소제를 크게 분류하면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일반식품으로나눌 수 있습니다. 대부분 시중에 유통되는숙취 관련 제품은건강기능식품이 아닌일반식품(음료, 젤리, 캔디 형태 등)으로 분류되며,건강기능식품처럼 '숙취해소' 효과를주장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2020년 12월 19일일반식품의 기능성표시 제도가도입되면서, 사전 심의와 과학적 근거를 충족하면 일.. 2025. 4. 14.
식품일까 아닐까? 박카스를 통해 본 '경계'의 이야기 박카스, 에너지드링크? 약? 식품?피곤할 때 흔히 찾게 되는 '박카스'. 약국에서는 '박카스 D',편의점에서는 '박카스 F'를 쉽게 볼 수 있죠.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식품이 아닌 의약품과 의약외품으로분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큽니다. 이번 글에서는 박카스를 중심으로 식품과 의약품의 경계에 대해 알아봅니다.1. 박카스 D, F는 어떤 제품인가요?💭 왜 따로 유통할까? 약국용 D vs 편의점용 F동아제약이 박카스를 D와 F로 나누어 유통하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제품 분류 차이박카스 D는 일반의약품→ 약국에서만 판매 가능박카스 F는 의약외품→ 일반 유통(편의점, 마트 등) 허용성분 차이로 인한 효능 구분D는 타우린 함량이 높고'피로회복' 효과에 더 집중F는 카르니틴 성분을 추가.. 2025. 4. 14.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⑨-2] 링티는 음료일까, 건강식품일까? 탈수 예방, 피로회복에 좋다는 ‘링티’, 정말 약처럼 믿어도 될까?운동 후 수분 보충, 숙취 회복,여름철 탈수 예방을 위해‘링티’를 찾는 소비자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약국용 링티와일반 마트·온라인 판매 제품이따로 있어 헷갈리는 경우도 많죠. 이 제품은 어디까지가 음료고,어디부터가 건강기능식품일까요? 이번편에서는링티의 식품유형, 음료베이스 기준, 일반용과 약국용의 차이, 표시기준 오해 사례를 정리해봅니다.1. 링티는 어떤 식품유형일까?음료베이스로 분류되는 제품링티는 '링거'처럼 수분을 빠르게보충해준다는 콘셉트로출시된 제품으로, 식품공전상 ‘음료베이스’로 분류됩니다. 즉,물에 타서 마시는희석형 제품이라는 의미예요. 식품공전 음료류 중 기타음료음료베이스: 동·식물성 원료를 이용하여 가공한 것이거나, 이에 식.. 2025. 4. 13.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⑨-1] 이름도 모호한 기타음료류, 기준은 뭘까? 차도 아니고, 주스도 아니고… 이런 건 다 '기타음료'?헛개맛 음료, 허브워터, 비타민워터,곡물베이스 음료처럼 도대체어떤 카테고리에 들어가는지 헷갈리는 음료들 많죠. 과채주스는 아닌 것 같고,차라고 하기엔 고형분도 부족하고,기능성도 없지만 뭔가 건강해 보이는 이런 음료들. 도대체 ‘기타음료류’라는 건뭘 기준으로 분류되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기타음료류’의정의와 범위, 표시기준, 오해하기 쉬운 예시들을 정리해 봅니다.1. 기타음료의 정의모든 음료의 '그 외' 항목식품공전에서는 기타음료를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기타음료라 함은 먹는 물에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제조하거나, 또는 동·식물성 원료를이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가공한 것으로서다른 식품유형으로 정해지지 않은 음료를 말한다. 또한 기타 음료류에.. 2025. 4. 13.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⑧-3] 커피우유는 커피일까, 우유일까? 이름은 커피지만 사실은…?마트에서, 편의점에서쉽게 만날 수 있는 ‘커피우유’. 달달하고 부드럽게 커피 맛을즐길 수 있어많은 사람들이 찾는 인기 음료죠. 그런데 이 ‘커피우유’,정말 커피일까요? 아니면 그냥 커피향이 나는우유일까요? 커피로 분류되려면어떤 기준이 필요한지도 궁금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커피우유’의 식품유형, 커피고형분 기준, 원료 표시 기준, 그리고 소비자 오해 포인트를 짚어봅니다.1. 커피우유의 식품유형조제커피일까, 가공유일까?커피우유는 유가공품에커피 또는 커피향을 넣은 제품으로,보통 ‘조제커피’ 또는 '가공유'로 분류됩니다. 조제커피볶은커피 또는 인스턴트커피에 설탕, 크림, 유가공품 등을 혼합한 제품. 커피고형분이 0.5% 이상이면 ‘커피류’로 분류됨가공유(축산물가공품)원유 또는 유가공.. 2025. 4. 13.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⑧-2] 콜드브루, 부드럽다고 카페인도 적을까? 산미는 약하지만 카페인은 강하다?부드러운 맛, 산미 없는 향, 차가운 감촉. 콜드브루는 최근 몇 년 사이가장 인기 있는 커피 유형이 되었죠. 하지만 '부드럽다'는 인상 때문에'카페인도 약하겠지'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도 많습니다. 정말 그럴까요? 이번 글에서는 콜드브루의 제조방식과 카페인 함량, 표시 기준을 중심으로 '순하지만 강한' 콜드브루의진짜 정체를 알아봅니다.1. 콜드브루란?찬물로 천천히 내린 커피콜드브루는 뜨거운 물 대신상온 또는 냉수로 오랜 시간(통상 8~24시간)추출한 커피입니다. 뜨거운 물 대신 천천히우러내기 때문에쓴맛과 산미는 줄어들고,향은 부드럽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추출 시간이 긴 만큼커피 성분이 더 진하게 우러나올 수 있고,카페인 농도 또한 높아질 수 있습니다.2. 식품공.. 2025.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