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품정보155

[유가공품 시리즈③] 우유와 가공유의 차이점 마트에서 우유를 고를 때,‘흰 우유’, ‘가공유’, ‘멸균우유’, ‘커피우유’ 등비슷하게 생긴 제품들이 줄지어 있어고르기 어렵던 경험 있으셨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인“우유”와 “가공유”의 차이를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우유란?우유는 법적으로 “우유류”로 분류되며,기본적으로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살균우유, 멸균우유, 저지방우유, 무지방우유 등이 포함되며,유지방을 일부 제거했거나 원유성분과유사하게 환원한 것도 해당됩니다. 환원유는 유가공품을 이용하여원유성분과 유사하게 만든 제품이며,보통 분유나 농축우유에 정제수를 혼합하여살균 또는 멸균처리하여 생산합니다.가공유란?가공유는 우유류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첨가한 제품입니다. 예를 들어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초코우유처럼맛이나 .. 2025. 7. 20.
[유가공품 시리즈②] 분유의 차이점 완벽 정리 분유는 아기만 먹는다고 생각하시나요? 사실 분유는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며,제조방식과 영양 성분에 따라 종류가 나뉩니다. 보통 아기들이 먹는 분유는유가공품보다는 성장기용 조제식으로식품유형이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 가지,전지분유·탈지분유·가당분유·혼합분유의차이를 알려드리겠습니다.분유란?먼저분유란 원유 또는 탈지유를그대로 또는 이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첨가하여 가공한 분말 형태의 제품입니다. 제조·가공기준을 보면 혼합분유 이외에는일체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첨가해서는 안되며,가당분유에 한하여 당류를 첨가할 수 있습니다. 식품유형은 전지분유, 탈지분유, 가당분유,혼합분유 4가지로 분류되어 있습니다.유형별 분유 비교전지분유란?전지분유는 원유를 그대로 농축한 .. 2025. 7. 19.
[유가공품 시리즈①] 유가공품 식품유형별 총정리 유가공품이란?유가공품은 말 그대로 우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을 의미합니다. 원유를 단순히 살균하거나 농축한 제품부터,다양한 공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치즈, 버터,분유, 연유까지 모두 유가공품에 포함됩니다. 특히 유가공품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식품 속에 아주 다양하게 쓰이기 때문에,식품을 제대로 알고 섭취하려는소비자에게는 꼭 알아두어야 할 정보입니다.유가공품의 대표적인 종류유가공품은 제조 방식과 성분에 따라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식품공전상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우유류우유류란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것이며, 유지방분을 부분 제거했거나 유지방 성분을 조정한 제품입니다. 또한 유가공품으로 원유성분과 유사하게 환원한 것도 포함됩니다.가공유류가공유류는 원유 또는 유가공품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2025. 7. 19.
스틱형 레몬수 완전 해부 (성분, 표시법, 효능) 요즘 건강과 다이어트에 관심 있는소비자들 사이에서 스틱형 레몬수가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물에 타서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는장점 덕분에 편의점, 온라인몰, H&B 스토어에서다양하게 판매되고 있지만,실제 이 제품들이 진짜 레몬을 얼마나포함하고 있는지 궁금하셨던 적 있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스틱형 레몬수의 성분,표시기준, 그리고 효능까지 낱낱이파헤쳐 보겠습니다.1. 성분 분석스틱형 레몬수, 정말 레몬일까?스틱형 레몬수는 물 없이 농축된 레몬 추출물이나향료, 감미료 등을 담은 스틱 제품으로,정제수에 희석해서 마시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다는 점에서소비자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지만,정작 그 안에 ‘진짜 레몬’이 얼마나들어 있는지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실제 많은 제품의 성분표를 살펴보.. 2025. 5. 27.
'1% 미만'이면 표시 안 해도 된다고?(식품 성분표, 생략기준, 소비자 주의사항) 식품 포장지 속 원재료명에 ‘기타가공품’, ‘혼합제제’ 등 모호한 표현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사실 이들 중 상당수는 1% 미만의 소량 성분으로, 표시가 생략된 경우입니다. 본 글에서는 ‘총중량 1% 미만’ 성분의 표시 생략 기준과 그 법적 근거,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1. 1% 이하 성분, 왜 표기 안 해도 될까?식품의 원재료명을 보면 ‘합성향료’, ‘혼합제제’, ‘기타가공품’ 등 정체를 알기 힘든 명칭이 적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대부분 ‘총중량 1% 이하’로 사용된 성분이기 때문에 개별 표기를 생략해도 된다는 규정에 따른 것입니다.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개별 성분 표시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혼합제제 .. 2025. 5. 26.
[영양성분 단위가 헷갈릴 때] mg, μg, IU 정리해드립니다 ⚖ 숫자는 같아도 단위는 다르다?헷갈리는 영양성분 단위 정리해드립니다식품 포장지에 적힌 ‘300mg’, ‘25μg’,‘1,000IU’… 숫자는 모두 익숙하지만,그 단위가 어떤 의미인지까지 알고 계신가요? mg, μg, IU 등은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영양소의 특성과 기능을 반영한 과학적 표시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비타민D는 μg과 IU가 병행되기도 하고,단백질은 g 단위로, 철분은 mg 단위로 표기됩니다. 이런 단위 차이를 모르고 숫자만 보면,섭취량을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하는 실수가 생기기 쉽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식품 라벨에 표시된 영양성분 단위의 종류와 그 의미,그리고 소비자가 숫자를 제대로 해석하기 위한 기준까지 정리해드립니다.1. mg, μg, IU… 단위는 왜 이렇게 복잡할까?식품 포장지나 .. 2025. 5. 25.
반응형